KB국민카드, 새학기 준비 품목 소비 데이터 분석...전자기기 지출 급증
머신러닝 모델 활용해 학부모 추정고객 소비 변화 분석 2023년 새학기 준비물 지출액 2022년 대비 35.7% 증가
[더페어] 노만영 기자=KB국민카드가 3월을 맞아 새학기 준비 품목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매출액을 분석했다.
본 분석은 소비 패턴, 카드 정보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모델로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추정하고, 해당 회원이 2022년 2~3월과 2023년 2~3월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새학기 관련 품목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23년 2~3월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중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관련 품목을 구입한 회원 수는 2022년 동기 대비 약 31%, 지출액은 3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지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세부 품목은 이어폰/헤드셋, 학습교재, 스마트워치, 실내화, 휴대폰, 노트북이다.
새학기 관련 오프라인 지출도 16% 증가해 온오프라인 전체 16.2% 증가했다.
품목별 지출변화를 살펴보면 2023년 2~3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학습교재, 책가방 구입액은 2022년 동기 대비 35.7% 증가했다. 엔데믹 전환 이후 처음 맞는 입학식 및 새학기를 맞아 학부모들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새학기 관련 품목의 소비가 크게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전자기기(용품) 49.3%, 잡화류 36.6%, 도서/학습용품 23.1% 등의 카테고리에서 지출이 대폭 증가했다.
관련 품목에 대한 인당 지출액은 2022년 14만3천 원에서 2023년 14만8천 원으로 3.8% 증가했다. 인당 이용금액이 가장 크게 증가한 품목군은 휴대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용품)로 9.9%, 책가방, 운동화 등 잡화는 2.8% 증가했다. 학습교재와 문구용품 등 도서/학습용품은 -3.1%로 감소했다.
전체 지출액에서 각 품목별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2022년에는 전체 새학기 품목 지출액 중 학습교재의 비중이 16.6%, 운동화 9.9%, 책가방 8.7%, PC(용품) 8.4%, 휴대폰(용품) 6.9%, 노트북(용품) 5.0% 순이었다.
2023년은 학습교재 부문의 비중이 크게 증가해 28.2%를 차지했고, 이어서 책가방 9.3%, 휴대폰(용품)8.3%, 운동화 8.3%, PC(용품) 7.6%, 노트북(용품) 5.8% 순으로 높았다.
2022년 대비 2023년 지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세부 품목은 이어폰/헤드셋(용품)으로 253.3% 증가했고, 이외에는 학습교재 130.3%, 스마트워치 91.3%, 실내화 72.5%, 휴대폰(용품) 64.6%, 노트북(용품) 56.4%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세부 소비 품목 중 2022년 대비 2023년 책상/책장/의자의 지출은 -7.4% 감소했다.
KB국민카드 데이터사업그룹 관계자는 "새출발의 계절인 3월을 맞아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부모 추정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의 새학기 준비물 소비 현황을 분석해보니, 2023년 소비가 더욱 활발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해 시즌별 소비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소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KB국민카드의 빅데이터 플랫폼인 데이터루트(Dataroot)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KB국민카드는 최근 코레일톡에서 승차권 예매 시 KB Pay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결제 수단을 추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