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2천209억 원... '솔루션·IDC 사업 실적 견인'

B2B 사업 체질 개선이 매출 실적 견인 AICC 등 솔루션 사업 19.8%·IDC 11.7% 매출 성장

2024-05-09     박희만 기자
사진제공=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 용산사옥 전경

[더페어] 박희만 기자=LG유플러스가 2024년 1분기 매출 3조5천770억 원, 서비스매출 2조8천939억 원, 영업이익 2천209억 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2023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늘어났으나 영업이익은 15.1% 감소했다.

매출 확대의 배경으로는 B2B 기업인프라 부문의 성장이 꼽혔다. AICC(인공지능컨택센터), 스마트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포함한 '솔루션 사업'의 성장과 'IDC 사업'이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 전산망 구축으로 인한 비용 반영과 휴대폰 판매량 증가에 따른 마케팅비용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감소한 2천209억 원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는 AI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지난해 AI 기술 적용이 용이하고 보안이 한층 강화된 차세대 통합 전산 시스템을 개발, 적용한 바 있다.

마케팅비용은 5천467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5천343억 원과 비교해 2.3% 늘어났다. 1분기 CAPEX(설비투자)는 20MHz 추가 주파수 할당에 따른 기지국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5.9% 감소한 3천849억 원을 집행했다.

 기업 인프라 매출 9.9%↑, AICC 등 '솔루션 사업' 19.8%, 'IDC' 11.7% 고공 성장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IDC,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4천50억 원을 기록했다 .

LG유플러스는 그동안 쌓아온 AI 역량을 바탕으로 AICC, SOHO, IDC 등 B2B 사업에 AI 중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AX)을 속도감 있게 적용, 올해부터 AI 기반 B2B 사업 성과 및 매출 성장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가장 크게 성장한 부문은 AICC, SOHO, 스마트모빌리티 등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솔루션 사업이다. 1분기 솔루션 사업 매출은 1천2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고도화된 AI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 규모에 맞춘 AICC솔루션을 운영하며 고객 선택권을 넓혔다. 향후 LG유플러스는 AICC에 차체 개 발한 AI 기술인 '익시(ixi)' 기반 챗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대형언어모델(LLM) 익시젠(ixi-GEN)을 탑재,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IDC 사업은 지난 2023년부터 5개 분기 연속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1분기 IDC 사업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7% 성장한 855억 원을 기록했다.

AI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력 절감 노하우와 우수한 안정성 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만족도를 극대화한 것이 매출 성장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10월 준공한 두 번째 하이퍼스케일급 IDC '평촌2센터'는 전산실이 모두 예약 완료된 상태다. 지난달30일, 세 번째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로 낙점한 파주 IDC의 경우에는 생성형 AI 전용 GPU 운영·관리에 최적화된 'AI 데이터센터'로 키워낸다는 전략이다.

기업 인터넷과 전용회선 등을 포함한 기업회선 사업 매출도 전년 대비 3.8% 증가한 1천974억 원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을 지속했다.

 무선 가입 회선 5G 도입 이후 최대 성장률 기록… 3개 분기 연속 20%대 성장
모바일 부문은 총 가입 회선이 5G 도입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성장을 이어갔다. 모바일 사업 매출은 1조 5천8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상승했다.

접속매출을 제외한 무선서비스매출2)은 1.9% 성장한 1조 5천71억 원이다. 무선서비스매출은 무선 서비스 관련 기본료, 통화료, 데이터 등 수익을 합산한 수익이다.

기간통신(MNO)과 알뜰폰(MVNO)을 합한 전체 무선 가입회선 수는 2천626만 8천 개로 전년 대비 27.8% 늘어나며, 3개 분기 연속 20%대 성장을 달성했다. 전체 순증 가입회선은 117만 1천 개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77.7% 늘어났다.

MNO 가입회선은 지난해 1분기 1천620만 7천 개 대비 18.7% 늘어난 1천923만 4천 개다. 올해 1분기 통신사간 번호이동이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MNO 해지율은 1.18%를 기록했으며 5G 가입 회선도 전년 동기 대비 13.2% 늘어난 719만 명으로 집계됐다. 핸드셋 기준 전체 가입자 중 5G 고객 비중은 65.7%로 전년 동기 대비 8.8%p 증가했다.

MVNO 가입회선도 가파른 증가세가 유지됐다. 1분기 MVNO 회선은 전년 동기 대비 61.8% 늘어난 703만 4천 개를 달성했다.

커넥티드카 분야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고도화와 더불어 LG유플러스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기업을 위한 온·오프라인 전문 매장, 통합 유심 등 중소사업자와 상생 노력이 가입자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스마트홈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IPTV·초고속인터넷 가입회선 증가가 매출 성장 견인
IPTV와 초고속인터넷을 포함한 스마트홈 사업은 고가치 가입회선 증가에 힘입어 성장을 이어갔다. 1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9% 증가한 6천117억 원을 기록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6.5% 상승한 2천775억 원으로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회선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521만 8천 개다.

IPTV 사업 매출은 3천3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늘었다. 올해 1분기 IPTV 가입회선은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547만 9천 개이며, 순증가입회선은 119.2% 증가한 3만 4천 개로 집계됐다.

업계 최초로 추진한 IPTV MSA(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 전환 작업이 성공함에 따라 요금제, 맞춤형 콘텐츠 기능, UI·UX 등 업데이트를 서비스 끊김 없이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게 LG유플러스 측 설명이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최고리스크책임자(CRO) 여명희 전무는 "올해 어려운 대내외 환경이 예상되는 가운데, 통신 및 신사업 등 전 사업 영역에서 AI 기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AX)을 통해 더 큰 성장의 기회를 만들 것"이라며 "고객 경험 혁신과 수익 성장을 기본으로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해 경영 목표를 달성하고 주주 이익을 제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가정의 달을 맞아 월 정기 혜택 프로그램 '유플투쁠'의 테마파크 할인 혜택을 강화한다.

5월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 구성원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테마파크 할인 혜택을 강화했다. 고객은 U+멤버십 앱에 접속해 롯데월드 어드벤처(서울·부산), 아쿠아리움, 서울스카이 등 할인 쿠폰을 각 해당 날짜에 내려받아 이달 말까지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