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미래전략연구소, '쌀의 가치 재발견' 심포지엄 개최
쌀의 영양학적 효능과 푸드테크를 통한 쌀 가치 재조명
[더페어] 오주진 기자 =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미래전략연구소는 지난 6일 농협본관에서 ‘쌀의 가치 재발견, 쌀의 효능과 올바른 인식’을 주제로 「제29회 농업인의 날 기념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강재헌 성균관의대 서울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가 “쌀밥의 의학적 오해와 진실”을 주제로 발표하며, 한식과 서양식 다이어트에 대한 임상 실험 결과를 공유했다.
연구에 따르면, 한식이 양식에 비해 허리둘레 감소에 더 효과적이며(한식 –5.1cm, 양식 –3.4cm), 당대사 기능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또한 쌀이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한 완전식품임을 강조하며, 쌀 중심 식단이 성인병 예방에 기여하는 균형 잡힌 식사라고 설명했다.
정혜경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는 “쌀의 영양학적 효능과 인문학적 가치”에 대해 발표하며, 쌀이 한국인 정체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언급했다.
쌀밥이 비만, 고혈압,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쌀 소비 증대를 위해서는 영양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국민 식습관과 문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기원 서울대학교 푸드테크학과 교수는 “최신 푸드테크 트렌드와 쌀 가공식품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며, 푸드테크가 식품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기술임을 설명했다.
그는 푸드테크를 바탕으로 그린바이오, 팜테크 연계를 통해 소비자 맞춤형 간편식 및 대체식품과 같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는 쌀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푸드테크를 바탕으로 그린바이오와 팜테크를 결합하면, 쌀에 대한 소비자 맞춤형 간편식 및 대체식품과 같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는 쌀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