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초등 2030교실 연찬회' 열어 미래 교육 방향 제시
2030교실 길라잡이 공개 및 맞춤형 학습 환경 구축 방안 논의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18일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초등 2030교실 연찬회’를 개최하고, 전남이 지향하는 미래 수업 방향과 교실 환경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연찬회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2030수업교사, 2030교실 컨설턴트, 교육지원청 담당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날 처음으로 ‘2030교실 길라잡이’가 공개됐다.
연찬회는 2030교실 길라잡이 안내, 2030교실 모델 설명, 전남교육 AI·빅데이터 플랫폼 활용법, 컨설팅 방향 및 사례 공유, 질의응답 및 협의 순으로 진행됐다.
‘2030교실 길라잡이’ 안내 시간에서는 2030교실 핵심 전략과 미래 수업 예시, 교실 환경 구성 방안, 업무 추진 절차 등이 공유됐다.
참가자들은 이 교실이 학생 주도성을 강화하고, 전남의 2030년 교육 상황에 부합하는 공간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며 미래 수업 실현을 위한 지혜를 모았다.
특히 백혁 교사(화순오성초)는 ‘2030 미네르바 교실’ 조성 및 운영 계획을 소개하며, 지역과 학교 특색을 반영한 2030교실 방향성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격적인 컨설팅에 앞서 현장 경험이 풍부한 컨설턴트들이 실제 사례를 공유하며 2030교실에서 진행될 수업에 대한 브랜딩 방안을 논의해 내실을 다졌다.
전남교육청은 이번 연찬회를 계기로 ‘2030교실 길라잡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현장 밀착형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수업 혁신을 위한 교육 공동체 협력을 확대하고, 지역과 학교, 학급 특성에 맞춘 맞춤형 학습 환경 구축에 집중할 방침이다.
김병남 유초등교육과장은 “미래 교육은 2030교실에서 시작된다. 2030교실 모델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이를 통해 수업 혁신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며 “2030교실이 지역과 공생하는 글로컬 교육 실천 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