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저위험 포트폴리오로 은행권 1위 달성...연금관리 선도
저위험포트폴리오2, 전 기간 수익률 1위 기록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개편으로 수익률 제고 노력 연금관리 1등 은행으로서의 입지 강화
[더페어] 정도영 기자 =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저위험 포트폴리오 상품이 전 기간 동안 은행권 1위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4분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주요 현황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저위험포트폴리오2’ 상품은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수익률에서 각각 1.74%, 5.41%, 5.71%, 10.46%를 기록하며 저위험 상품군에서 최고의 성과를 보였다.
하나은행은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상품군 모두에서 1개월, 3개월, 6개월 수익률에서 은행권 1위를 차지하며 단기 수익률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도 나타냈다.
특히, 6개월 수익률에서는 ‘고위험BF3’가 10.67%를 기록했으며, ‘중위험포트폴리오3’와 ‘저위험포트폴리오2’는 각각 7.59%, 5.7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들 상품은 업계 최저 수준의 보수를 적용해 앞으로도 안정적인 장기 투자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난해 6월 이후 6개월 동안 7.2조원의 자금이 디폴트옵션으로 유입되며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하나은행은 새롭게 구성된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상품으로 뛰어난 수익률을 달성하며 퇴직연금 분야에서 1위 은행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5월 시장 상황에 맞춰 업계 최초로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상품 라인업을 개편하는 등 ‘수익률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고객님들의 소중한 연금자산을 맡겨주신 것에 보답하기 위해 최고의 수익률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연금관리 1등 은행으로서 차별화된 연금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하나은행은 2024년 동안 개인형 IRP와 확정기여형(DC) 제도에서 원리금 비보장 상품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 은행권 1위 및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