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옛 광주적십자병원 11년 만에 개방...기억·공감·참여 이끌어
‘소년의 길’ ‘오월길’과 연계한 해설 프로그램 운영 전시·체험 콘텐츠 통해 5·18 의미 재조명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5·18사적 제11호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을 오는 5월 3일부터 31일까지 11년 만에 한시 개방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개방 구간은 관람객 안전과 효율적 관람을 고려해 전면 주차장, 응급실, 1층 복도, 중앙현관, 뒷마당 등으로 지정했으며, 관람 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오후 1시30분 이후에는 5·18기념재단 ‘오월해설사’가 상주해 방문객에게 무료 해설을 제공한다.
옛 광주적십자병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부상자 치료와 자발적 헌혈이 이뤄진 상징적 장소로, 1996년부터 서남대학교병원으로 운영되다 2014년 폐쇄됐다.
광주시는 사적지 보존을 위해 2020년 7월 매입해 관리하고 있으며, 관련 단체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담팀(TF)을 구성해 보존·활용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개방은 ‘2025 광주방문의 해’를 앞두고 5·18사적지 역사적 가치를 시민과 방문객에게 널리 알리고, 역사문화관광 콘텐츠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특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 배경지로서 ‘소년의 길’과 광주관광공사 특화관광상품, 5·18기념재단 ‘오월길’ 해설 프로그램과도 연계해 운영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병원 개방과 함께 ‘멈춘 공간의 이야기,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는 5월 3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되며, 5·18 당시 헌혈과 부상자 치료 장면을 담은 사진, 병원 운영사와 관련자 증언 영상, 체험형 콘텐츠 등을 통해 공간 의미를 생생히 전달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행사 종료 후 관람객 반응과 운영 결과를 토대로 유휴공간 지속 활용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며, 단체·전문가·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중장기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국비 확보에도 힘쓸 계획이다.
박용수 민주인권평화국장은 “5·18사적지를 통해 민주화운동 역사를 시민과 공유하고 기억하는 공간으로 만들어가겠다”며 “이번 전시가 기억과 공감, 참여를 이끄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