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군, 4년여 만에 인구순증 전환…정주 기반 확대 정책으로 인구 반등 추진
주소 갖기 운동, 출산·주거·일자리 연계정책 효과 귀농·귀촌·청년 정착 유도 기반 확충해 안정거주 도모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진도군(군수 이동진)이 꾸준히 추진해 온 인구정책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며 지역사회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2020년 12월부터 매월 평균 58명씩 감소하던 인구는 올해 3월 전월 대비 9명 증가한 데 이어 4월에도 1명 증가하며 4년 3개월 만에 두 달 연속 인구 순증이라는 고무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이 같은 변화는 진도군이 집중적으로 전개한 ‘내 고장·내 직장 주소 갖기 운동’과 출산, 보육, 주거, 일자리 등 생활환경 전반에 걸친 정책 성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주소 갖기 운동은 군민은 물론 관내 기관·단체·사업체가 참여하는 릴레이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군부대, 교육청, 소방서 등 11개 기관이 동참해 실거주지 주소 이전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 있다.
출산 장려를 위한 지원도 주목된다. 진도군은 자녀 1인당 최대 1억 1,893만 원까지 지원하는 파격적인 출산·보육 정책을 시행 중이며, 이 지원은 출산장려금부터 교육지원금까지 총 1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돼 양육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있다.
청년을 위한 주거 정책도 병행된다. 전남형 만원주택(60세대), 청년공공임대(18세대), 간호·복지인력 기숙사(30세대) 등 다양한 거주 공간이 조성되고 있으며, 근속장려금과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통해 청년층 경제적 자립 기반도 함께 마련 중이다.
귀농·귀촌인 유치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진도에서 살아보기’와 ‘귀농인의 집’ 운영을 통해 단기 및 중기 체험·정착을 지원하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리모델링한 유휴주택 ‘보배섬 하우스’를 통해 장기 안정 거주를 도모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공단지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도 인구정책 핵심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수산식품가공업 입주 완료와 함께 고군농공단지 환경 개선, 청년문화센터 조성 등 기반 확충을 통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군 관계자는 “진도군 인구정책은 단순 유입을 넘어 정주 기반 조성과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며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 확대해 인구 반등을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