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섭 서산시장, 미국 선진 정책 벤치마킹…다양한 시정에 적극 반영
엘리자베스타운과 우호교류 의향서 체결로 국제 협력 기반 마련 시카고 문화예술 정책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직접 확인 뉴욕시 도시재생 사례 통해 서산시 도시계획 전략 고도화 문화예술·도시재생·주민참여 등 다방면 시책에 선진 사례 접목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이완섭 서산시장이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5박 7일간 진행한 미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했다. 이번 방문에서는 엘리자베스타운과의 우호교류 의향서 체결을 비롯해 여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11일(현지시간)에는 엘리자베스타운과 우호교류 의향서를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과 제프 그레고리 엘리자베스타운 시장은 양 도시 주민 간 우호증진과 행정, 경제, 문화, 교육, 민간 영역에서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로 했다.
출장 첫날인 9일에는 시카고 미술관과 밀레니엄 파크를 방문하며 서산시가 추진 중인 문화예술타운 및 초록광장 등 문화시설 사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10일에는 연간 1천여 개 이상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카고시 문화특별행사국의 문화센터를 찾아 문화예술 정책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와 연계된 문화정책 추진 사례도 살펴봤다.
12일에는 켄터키주 루이빌에 위치한 아시아 연구소 크레인하우스를 방문해 청소년을 위한 한·미 문화교류 프로그램에 대해 협의했다.
13일에는 뉴욕시 도시계획국을 방문, 도시 공간 계획, 토지 이용, 개발 지침 등 뉴욕시의 종합적인 도시계획 전략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뉴욕시는 하이라인파크 재개발과 허드슨야드 도시재생 사업 등으로 지속가능하고 복합적인 도시 조성에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이 시장은 40년 경력의 도시계획 전문가와 주민참여 시스템, 도시개발 컨셉 및 디자인 접근법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며 서산시 도시재생 정책에 적용할 방안을 고민했다. 특히 폐철도를 활용해 공원으로 재탄생한 하이라인파크를 직접 둘러보며 디자인과 시민참여가 조화를 이룬 성공 사례를 참고했다.
서산시는 이번 미국 출장에서 얻은 선진 정책과 사례를 문화예술, 문화교류, 도시재생, 주민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시민 편의를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완섭 시장은 “짧지만 알찬 일정 속에서 엘리자베스타운과의 우호교류 기반을 마련하고, 미국의 다양한 선진 정책을 체험한 값진 시간이었다”며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인 시책들의 완성도를 높이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