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 대응 총력...‘보성형 복지 모델’ 완성 박차
군수 직속 TF 구성·군민 캠페인 전개하며 공모 선정 대응 총력 기본소득과 지역사랑상품권 연계해 경제 선순환 구조 설계 ‘보성형 농촌복지 모델’ 완성 목표로 지속 가능한 농촌 정책 추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보성군(군수 김철우)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에 대응하기 위해 전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군은 이번 공모를 농촌 정책의 대전환점으로 삼고, 지역 주민 생활 안정과 공동체 회복을 아우르는 복지 모델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시범 사업은 농어촌 지역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소득을 도입,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국가 단위 정책이다.
공모에 선정되면 2026년부터 2년간 보성군 주민들에게 매월 15만 원 상당 지역사랑상품권이 지급되며, 전국 6개 군이 최종 대상지로 확정된다.
군은 공모 대응을 위해 지난 9월 25일 전략회의를 열고 군수 직속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TF에는 인구정책과, 기획예산실, 문화관광실, 경제교통과, 보건소 등 주요 부서가 참여해 지역 여건과 재정 구조를 반영한 맞춤형 계획을 마련 중이다.
또한 전 군민이 참여하는 선정 기원 캠페인, 농업인단체 간담회, 주민 홍보 활동 등을 전개하며 공모 취지 확산과 공감대 형성에 나서고 있다.
보성군은 기본소득이 단순한 지원에 그치지 않고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도록 설계하고 있다.
보성사랑상품권 사용처 확대와 결제 편의성 개선을 병행해 실질적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거두겠다는 방침이다.
김철우 군수는 “농어촌 기본소득은 단순한 생계비 지원이 아닌 농촌 미래를 설계하는 투자”라며, “이번 공모를 통해 보성형 농촌복지 모델을 완성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