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3분기 누적 당기순익 4조4609억원...전년동기比 10.3% 급증

2025-10-28     백상일 기자

[더페어] 백상일 기자 = 신한금융그룹은  28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신한금융그룹의 2025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 4235억원으로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성장 및 수수료이익의 고른 증가, 효율적인 비용 관리 노력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실적을 시현했다. 그룹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조 4609억원으로 견조한 핵심이익의 성장과 전년도 발생했던 일회성 비용의 소멸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

신한금융그룹 재무부문 천상영 부사장은 “대외적으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균형 잡힌 성장과 수수료이익 확대, 비용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이익 창출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4분기에는 마진 하락 압력과 가계대출 성장 둔화로 이자이익 확대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보다 생산적 분야에 대한 자금 공급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비은행 및 비이자 부문의 성장과 전사적 비용 관리 노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이익 성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천상영 부사장은 “현재 한국 금융산업은 담보·부동산·가계대출에 비중이 쏠려 있어 한국 경제의 재도약과 실물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금융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신한금융그룹은 기업금융 중심의 자원 배분 확대 기조를 이어가며, 적재적소의 자금 공급과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 역량을 통해 산업 전환을 촉진하는 금융의 본연적 역할을 선도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의 부문별 현황을 부면 효율적 ALM 관리를 통한 마진 방어로 그룹 NIM과 은행 NIM은 전분기 대비 각각 1bp 상승하고, 금리부자산이 전분기 대비 3.2% 상승함에 따라 3분기 이자이익은 전분기 대비 2.9% 증가했다.

금리 인하 영향으로 기중 그룹 NIM과 은행 NIM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bp 하락했으나 누적된 자산 성장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이자이익은 2.0% 증가했다.

증권수탁/투자금융 등 자본시장 관련 수수료이익이 신용카드 부문 수수료이익 감소분을 상쇄하며 수수료이익은 소폭 증가했으나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감소함에 따라 비이자이익은 전분기 대비 23.7% 감소했다.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증가하며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다.

3분기 판매관리비는 카드 희망퇴직 비용 인식 등으로 전분기 대비 2.2% 증가했다.

분기 누적 판매관리비는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으며, 누적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3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전분기 발생했던 은행의 기업 정기 신용평가에 따른 충당금 적립 요인 소멸 등에 따라 전분기 대비 30.1% 감소했다.

3분기 누적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전반적인 경기 부진에 따른 경상 충당금의 적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으나, 3분기 누적 기준 대손비용률은 0.46%로 전년 연간 대손비용률인 0.49% 대비 소폭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전년도 일회성 비용 효과(1분기 은행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3분기 지분법 평가손실 및 기부금 등) 소멸에 따라 영업외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786억원 증가했다.

자본효율성을 감안한 외형 성장과 비이자이익 확대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며, 연중 지속된 비용 효율화 노력으로 3분기 그룹 글로벌 손익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진출 국가별 차별화된 성장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시현하며 3분기 누적 그룹 글로벌 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했다.

2025년 9월 말 잠정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6.10%,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3.56%로 효율적인 자본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그룹사별 실적을 보면 신한은행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 89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3% 감소했으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조 35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견조하게 유지되고 투자금융수수료, 펀드/방카판매수수료 등 수수료이익이 증가했으나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감소함에 따라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3분기 대손비용은 2분기 발생했던 기업 정기 신용평가 영향 등이 소멸됨에 따라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수수료이익 개선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며, 전년 발생했던 일회성 비용 소멸에 따른 영업외이익 증가 영향으로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2025년 9월 말 원화대출금은 전년 말 대비 3.5% 증가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대출이 전년 말 대비 각각 2.4%, 2.1% 증가하며 기업대출은 전년 말 대비 2.3% 증가했으며, 가계대출은 전년 말 대비 정책대출 중심으로 5.1% 증가했다.

2025년 9월 말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01%p 하락한 0.31%,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전분기 대비 0.03%p 하락한 0.30%를 기록했다.

신한카드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33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0.6% 증가했으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8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2% 감소했다.

3분기 계절성 마케팅 영향으로 수수료이익은 감소했으나 건전성 개선 효과 등으로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20.6% 증가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조달 및 대손비용 증가와 희망퇴직 비용 발생 등에 따라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2% 감소했다.

2025년 9월 말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13%p 하락한 1.37%를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005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3.5% 감소했으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5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4% 증가했다.

국내외 주식 위탁수수료 수익이 개선됐으나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운용손익 감소로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33.5% 감소했다.

자기매매 손익 및 주식 위탁수수료 수익이 증가하고 판관비가 전년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4.4% 증가했다.

신한라이프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70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0% 감소했으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51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신계약 확대 영향 보험손익 증가했으나 FVPL 평가이익 등 금융손익 감소 영향으로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5.0% 감소했다.

주식시장 호조에 따른 유가증권/변액 관련 금융손익 증가로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2025년 9월 말 보험계약마진(CSM)은 7.6조원이며, K-ICS비율의 잠정치는 190%로 금융감독원의 권고 기준인 130%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신한캐피탈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28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4.0% 감소했으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7% 감소했다.

 투자 유가증권 및 배당 관련 수익 감소 영향 등으로 영업수익이 감소함에 따라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14.0% 감소했다.

이자 자산 감소 등에 따른 이자수익 및 유가증권 관련 수익 감소 등으로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