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전북농어촌활력재단’ 설립 최종 승인…농촌소멸 대응 공식 컨트롤타워 출범

농촌경제·공동체 활성화 위한 전국 최초 전담 재단 설립 확정 농촌생활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인구소멸 대응·지역 활력 기반 강화

2025-11-04     오주진 기자
전북자치도 청사 전경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농촌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전문기관 ‘전북농어촌활력재단’ 설립을 행정안전부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 

올해 3월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구축, 4월 농식품부 전국교육훈련기관 지정에 이어 재단 설립 승인까지 완료하면서 전북도 농촌문제 해결을 위한 3개 축이 모두 갖춰졌다.

전북도는 급속한 고령화·청년 농업인 감소로 지역공동체가 붕괴되고 농촌이 소멸 위기에 놓인 현실 속에서, 행정과 정책, 지원 기능을 통합 관리하는 농촌 분야 공식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실제로 전국 농가인구는 2010년 대비 34.5% 감소했고, 청년 농업인은 약 69.4% 줄었다. 

전북의 상황은 더 심각해 14개 시군 중 10곳이 인구감소지역, 13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전북도는 기존 위탁·보조 방식 한계를 극복하고, 공공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단 설립을 추진했다. 

설립되는 재단은 △전북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전북농촌융복합지원센터 △전북농어업농어촌일자리플러스센터 △전국교육훈련기관 등 4개 기능을 통합 운영한다.

총 자본금은 3억 원, 연간 운영예산은 48억 원 규모이며, 올해 준공된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4층 규모)에서 업무를 추진하게 된다.

설립 타당성 조사 결과, 전북도민 710명 중 68.2%가 재단 설립이 지역발전과 농어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재단 출범 시 전북도는 △농촌생활서비스 제공 △지역 공동체 활성화 △농촌 일자리 창출 △전문 교육훈련 운영 등 기능을 한 곳에서 수행하며, 농촌 정책 연속성과 장기 추진 체계를 확보하게 된다.

전북도는 2026년 말 재단 출범을 목표로 조례 제정, 정관 수립, 임원 구성 등 후속 절차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이번 승인으로 전북이 전국 최초로 농촌소멸 대응 전문 재단을 갖추게 됐다”며 “보편적 농촌생활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해 활력 있는 농촌을 만들고, 국가적 모범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