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전통문화×미래기술로 K-콘텐츠 핵심도시 도약 시동
전주시·전주시정연구원, ‘소리·한글 기반 K-콘텐츠 비전’ 논의 세미나 개최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주시가 전통문화와 미래기술의 융합을 통해 K-콘텐츠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주시와 전주시정연구원(원장 박미자)은 13일 완판본문화관 인청에서 ‘소리와 한글 기반 K-콘텐츠 비전 수립 세미나’를 열고, 전주만의 독보적 문화유산을 활용한 미래성장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세미나는 판소리와 완판본 등 전주 고유의 전통자산을 시대 변화에 맞게 재해석하고, AI를 비롯한 첨단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산업적 가치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소리와 한글, 콘텐츠로 여는 K-문화 수도 전주’를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는 ▲이춘구 향약연구원 연구위원 ▲안준영 완판본문화관 관장 ▲홍성덕 전주대학교 교수가 발표를 맡아 다양한 관점에서 전주형 K-콘텐츠 전략을 제시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이춘구 연구위원은 ‘K-소리와 AI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전통음악의 디지털 전환 방향을 제안했다. 그는 “K-소리가 새로운 산업 확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며 “전주가 K-소리 허브로 성장하려면 AI 기반의 문화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준영 관장은 완판본·판소리 등 전주가 보유한 전통자산의 산업적 확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완판본 복원과 디지털화, 한지 기반 출판, 판각 기술의 현대화 등을 통해 기록문화 산업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완판본과 한지는 K-콘텐츠 시대의 핵심 자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성덕 교수는 ‘전주시 K-콘텐츠 비전과 과제’를 통해 전주에 축적된 한옥·판소리·한지 등 전통문화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 모델을 제시하며 “전통의 깊이와 기술의 혁신이 공존하는 미래형 콘텐츠 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전주의 문화자산을 글로벌 IP로 전환하고 시민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시정연구원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전주의 대표 문화자산을 미래 기술 및 산업과 연계한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동시에 전주시와 협력해 글로벌 문화수도로 도약할 수 있는 정책 연구를 이어갈 방침이다.
박미자 연구원장은 “전주의 고유한 역사·문화적 강점을 바탕으로 K-콘텐츠 중심도시로서의 비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만의 소리·한글 자산을 미래산업과 연결해 전주형 K-콘텐츠 전략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자리였다”며 “이번 세미나가 미래세대를 위한 문화산업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