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2년차 성과 ‘뚜렷’…자율주행 인증·R&D·인재양성 가속
자율주행 성능평가센터 본격 추진…참여 기업들 핵심기술 개발 성과 잇따라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광역시가 미래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미래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조성 사업이 2년차에 접어들며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자율주행 인증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R&D), 미래 인재 양성 등 주요 분야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확인됐다.
광주시는 17~18일 전북 변산 소노벨에서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과 함께 ‘2025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통합 성과보고회’를 열고, LG이노텍, 한국알프스, 에스오에스랩, DH오토리드, 에니트, 한국광기술원 등 20개 기관·기업과 추진 성과를 공유하며 협업 의지를 다졌다.
올해 성과 중 가장 주목받은 부분은 ‘자율주행 안전 성능평가 인증지원센터’ 건립이다. 지난 9월 30일 착공한 센터는 2026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광주시는 올해 5종, 내년 6종을 포함해 내년 말까지 총 21종의 자율주행 검증 장비를 확보해 시험·평가·인증이 가능한 기반을 완비할 계획이다.
보고회에서는 입주 기업들의 기술 개발 사례도 발표됐다. 에스오에스랩은 악천후에서도 정확한 인지가 가능한 엣지 임베디드 모듈을 개발해 높은 관심을 받았다. DH오토리드는 안전성을 강화한 이중화 전원시스템과 노면 반력모사 액추에이터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에니트는 차량과 교통 인프라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로드사이드유닛(RSU) 1차 시제품을 선보였다.
광주산학융합원은 지역 기업들의 인재 수요를 반영한 특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올해 말까지 총 200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한다. 특히 산학연 협력 기반의 현장형 심화교육을 강화해 기업 맞춤형 인력 지원 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성과보고회 둘째 날에는 한국광기술원이 주관하는 자율주행 지능형 통신·전력 기술 세미나가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미래차 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협력과 공동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지속적 협업을 다짐했다.
광주시는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를 통해 자율주행 부품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된 뒤, 2028년까지 진곡산단–빛그린국가산단–미래차국가산단을 잇는 약 708만㎡ 규모 ‘미래차 산업 삼각벨트’를 구축하고 있다. 통합제어·인지·제어·통신 등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가속화하고, 지역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광주시는 2024년부터 5년간 총 657억 원을 투입해 자율주행 R&D, 성능평가 기반 구축, 전문 인력양성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국정과제로 선정된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과도 연계해 미래 모빌리티 도시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이동현 광주시 미래차산업과장은 “특화단지 사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업들이 실제 성과를 내고 있다”며 “지역 기업이 미래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도록 인증·기술·인력 분야에서 종합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