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해상풍력 블레이드 국산화 시동…통합 공급망 구축 본격화
전주 탄소산단–군산 클러스터 연계해 산업 생태계 확장 10개 기업·연구기관과 MOU…20MW급 초대형 블레이드 기반 마련 외산 의존 탈피·기술 자립 가속…지역경제·재생에너지 경쟁력 강화 기대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이 보유한 탄소소재 역량과 해상풍력 산업을 결합하는 블레이드 국산화 기반이 마련되면서, 지역 해상풍력 산업이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9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CARBON KOREA 2025’ 개막식에서 군산시와 국내 탄소·에너지 기업 및 연구기관 등 10곳과 해상풍력 블레이드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과 군산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연계해 탄소복합소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해상풍력 블레이드는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으로,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기술 자립과 공급망 안정에 큰 전환점을 마련하게 된다. 협약 참여 기관·기업에는 전북자치도와 군산시를 비롯해 휴먼컴퍼지트, 신성소재, 삼우기업, HS효성첨단소재, 도레이첨단소재, 국도화학,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국산 블레이드 표준·공용화 연구 ▲실증·양산 기반 공급망 인프라 확충 ▲배후항만 연계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해상풍력 블레이드 산업의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하고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향후 20MW급 초대형 블레이드 인증시험 인프라와 시제품 제작·품질 검증 시스템도 마련될 예정이다.
특히 군산 지역에 대형 블레이드 기업과 연구기관을 집적함으로써 외국산 부품 의존도를 줄이고, 기술 자립과 수출 기반 확보, 산학연 협력 강화 등 통합 공급망 조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도는 해상풍력 기업 유치, 전문 인력 양성, 관련 산업 육성 등 산업 기반 확충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연관 산업의 동반 성장과 신시장 개척,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인 블레이드 생태계를 전북에서 구축하게 되는 만큼 재생에너지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도는 고창·부안 해역에서 2.46GW 규모의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며, 군산해역의 1.8GW 해상풍력단지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