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정도영 기자 = KB국민카드(사장 김재관)가 2021년부터 2024년까지의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려동물 관련 업종의 소비 행태를 분석한 결과, 소비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고령층과 온라인 중심의 소비 성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은 최근 4년간 동물병원과 반려동물 용품 전문점에서 결제를 한 354만명의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2,485만건의 거래 내역을 분석해 도출됐다.
2024년 반려동물 관련 업종 이용자 수는 2021년 대비 39%, 이용 금액은 30% 증가했다. 특히, 전년 대비 이용자 수는 1% 감소한 반면 이용 금액은 2% 증가해 1인당 소비액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체 반려동물 관련 소비 중 동물병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75%로, 용품 전문점(25%)보다 월등히 높았다.
동물병원 이용 고객 수와 지출 금액은 각각 전년 대비 2%, 4% 증가한 반면, 용품 구매 고객 수는 6% 줄었음에도 지출은 4% 늘어나 프리미엄 소비 성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인포그래픽] KB국민카드, 반려동물 소비 트렌드 분석/ 사진=KB국민카드](https://cdn.thefairnews.co.kr/news/photo/202505/48550_93239_5138.jpg)
연령대별로는 30대 고객이 전체의 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60대 이상 고객의 소비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은 용품 지출이 77%, 동물병원 지출이 57% 상승하며, 고령층이 반려동물을 삶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온라인 쇼핑의 성장세도 뚜렷했다. 2024년 반려동물 용품 온라인 구매 비중은 64%로, 3년 전 대비 53% 증가했다. 오프라인에서도 27%의 지출 증가가 있었지만, 온라인 성장폭이 훨씬 컸다.
품목별로는 고양이 용품 매출이 3년 전보다 81% 증가해 강아지 용품(49%)보다 더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고양이용 사료와 간식은 무려 106%나 증가하며 수요 확대를 견인했다.
한편, 동물병원 가맹점 수는 2021년 말 1만 4천여 곳에서 2024년 말 1만 7천여 곳으로 약 3,300곳 늘었다. 더불어 상위 10% 동물병원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2%에서 68%로 증가해, 대형 병원 중심의 매출 집중 현상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포그래픽] KB국민카드, 반려동물 소비 트렌드 분석/ 사진=KB국민카드](https://cdn.thefairnews.co.kr/news/photo/202505/48550_93240_5326.jpg)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고령층의 소비 확대와 온라인 중심의 구매 변화 등 반려동물 시장의 주요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고객층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