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범위한 CBDC 활용...한국도 따라가야
한국은행도 CBDC 활용성 테스트 시행 예정
오 대표, “CBDC 활용성, 기본소득 경제 효과 검증하는 실험”

기본소득당,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로 기본소득 실험 제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기본소득당 오준호 공동대표
사진제공=기본소득당 오준호 공동대표

[더페어] 노만영 기자=기본소득당 오준호 공동대표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를 활용한 디지털 기본소득 실험을 제안했다.

얼마 전 성황리에 마무리한 중국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중국은 자국 내 디지털 지불거래 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이른바 ‘디지털 위안화’를 항저우 등 저장성 일대에서 수월하게 사용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했다. 

중국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인 디지털 위안화는 지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첫선을 보이고 아시안게임에선 사용범위를 크게 넓혔다. 게다가 중국은 자국 내 거래뿐 아니라 국가 간 지급결제 수단으로 인정받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오 공동대표는 “한국도 이러한 미래 화폐 기술을 따라잡고 나아가 선도해야 한다”며 CBDC에 주목했다. 

지난 5일 한국은행은 ‘CBDC 활용성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연구해온 CBDC의 실제 인프라 구축을 실험한다는 것이다. 먼저 은행 등 기관 사이에 CBDC를 사용해보고, 내년 4분기에는 민간도 참여시킬 계획이다.

오 대표의 CDBC 활용안은 구체적으로 지역을 정해 지역 전체 주민에게, 또는 청년 등 경제활동이 많은 집단에 CBDC를 지급해 직접 써보게 하자는 것이다. 오 공동대표는 “CBDC의 활용성도 검증하고 동시에 기본소득의 사회경제적 효과도 확인하는 일석이조의 실험이 될 것”이라며 CBDC 기본소득 실험의 성격을 설명했다.

더불어 오 공동대표는 “CBDC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해 화폐에 각종 스마트 기능을 결합할 수 있다"며 "CBDC로 기본소득을 지급하면서 일정 사용기한을 지정하거나, 불법 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면서 장점을 예로 들었다.

동시에 CBDC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내비쳤다. 오 공동대표는 "'국가에 의한 개인정보 감시'의 문제가 지적된다"며 "이런 과제들도 실험으로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사진제공=기본소득당
사진제공=기본소득당

한편 디지털 화폐를 단지 기술 시스템 문제로만 보고 정부와 한국은행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디지털 화폐를 통해 민간은행 대출에 과도하게 의지하는 현재 통화제도를 개혁할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가 CBDC를 통해 직접 전 국민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재정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 성장과 관련해서는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시장에 신뢰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면 신산업 혁신과 성장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