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용보증재단 대위변제액 1조2천207억 원
지역별 사고액 경기·서울·부산 순

김회재 의원, '연체' 지역신용보증재단 사고액 3배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김회재 의원실
사진제공=김회재 의원실

[더페어] 박지현 기자=올해 2분기 자영업자 대출 잔액이 1천 43조 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빚을 못갚아 발생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 사고율과 대위변제율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코로나 종식후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에 경제 침체까지 겹치며 버티지 못하는 소상공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시 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 신용보증재단중앙회로부터 받은 '지역별 신용보증 사고·대위변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누적 사고액은 1조 6천 60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5천 419억 원) 대비 3배 수준이다.

사고액은 신용보증재단중앙회를 통해 은행 돈을 빌린 소상공인이 돈을 갚지 못하겠다고 선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지역별 사고액은 ▲경기(3천 591억 원) ▲서울(3천 304억 원) ▲부산(1천 264억 원) ▲경남(1천 61억 원) ▲경북(1천 34억 원) ▲인천(1천 17억 원) ▲대구(1천 13억 원) ▲충남(920억 원) ▲대전(526억 원) ▲전북(503억 원) ▲강원(468억 원) ▲전남(409억 원) ▲광주(394억  원) ▲제주(392억 원) ▲충북(391억 원) ▲울산(272억 원) ▲세종(42억 원) 등 순이었다.

지역별 사고율은 △인천(6.3%) △대구(6.0%) △부산(5.8%) △경남(5.6%) △경북(5.6%) △제주(5.5%) △경기(5.3%) △충남(4.6%) △서울(4.5%) △전남(4.5%) △전북(4.5%) △광주(4.4%) △대전(4.3%) △충북(4.3%) △울산(4.2%) △강원(3.6%) △세종(2.7%) 순이었다.

올해 9월 기준 누적 대위변제액은 1조 2천 207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위변제액이 3천 417억 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3.5배나 증가한 수치다.

전국 17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사고율과 대위변제율은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사고율은 2% 내외, 대위변제율은 1% 수준이었지만 이달 기준 각각 △4.8% △3.5%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특히 대위변제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역신용보증재단 최대 기록이었던 2012년보다 높은 상황이다. 당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평균 대위변제율은 약 3%를 기록했다.

자영업자 대출 규모가 역대 최대 기록을 갱신하며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하면 사고율과 대위변제율의 증가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회재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민생 현장으로 더 들어가서 챙겨야 한다며 국정기조에 대해 반성했지만 정작 실천은 보이지 않는다"며 "내수 진작·금융 지원·사회안전망 확충 등 재정이 구원투수가 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