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융합특구 국고보조사업 예산 '0원', 사실과 달라
부산 23년도 예산 국비 5억 원, 시비 5억 원 기확보
도심융합특구 특별법, 내년 시행 지구지정 후 실시계획 추진

김미애 의원, 부산 도심융합특구 본격화…"용역비 확보 광역시 중 유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김미애 의원실
사진제공=김미애 의원실

[더페어] 박지현 기자= 국민의힘 김미애 국회의원(부산 해운대구 을, 보건복지위원회)은 "부산(센텀2지구) 도심융합특구는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된 5개 광역시 중 유일하게 실시계획 용역비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일부 언론에서 '도심융합특구 국고보조사업 예산이 0원'이라며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취지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며, 부산의 경우 23년도 예산으로 국·시비 각각 5억 원씩 10억 원을 확보해, 내년 4월 도심융합특구 특별법이 시행되면 지구 지정 후 실시계획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당초 실시계획 용역비를 확보했고, 2024년 국비 예산을 신청한 사실이 없으며, 부산을 제외한 타 시도(대전·대구·광주·울산)가 실시계획 예산 20억을 신청했지만, 정부안에 반영되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미애 의원은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된 센텀2지구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양질의 일자리, 문화 향유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지역을 떠난 청년들이 다시 찾아오도록 하는 게 목표"라면서 "차질없는 사업 진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일·삶·문화·여가가 공존하는 혁신 공간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제공=김미애 의원실
사진제공=김미애 의원실

한편 도심융합특구는 1조9천600억 원을 투입해 주요 지역 광역지자체의 도심 개발과 기업 유치 및 활성화 등을 위해 산·학·연·관이 융합된 AI·서비스로봇 스타트업 혁신센터, 친환경·스마트 선박R&D와 디지털 헬스 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공간 플랫폼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2조2천411억 원의 센텀 2산단 사업과 함께 추진되는데 총사업비가 4조2천11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부산에서는 지난 2021년 말 해운대구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일대가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되어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진 창업생태계에 대응하는 동남권 대표 ICT(정보통신기술) 융합 창업 허브로 키워 지역 경쟁력 회복 및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