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손호준 기자=최근 비대면 계약이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과 전화 마케팅(Telemarketing, TM)을 통해 손쉽게 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변화는 보험 가입의 편의성을 높여 주지만, 여전히 보험설계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보험은 단순한 금융 상품이 아니라, 각 개인의 삶과 재정 상황에 맞춘 맞춤형 보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첫째, 보험설계사는 고객의 개별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내용이 많다. 반면, 보험설계사는 고객의 직업, 건강 상태, 가족 구성, 재정 상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보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상담은 고객이 실제 필요로 하는 보장을 받을 수 있게 해준다.
둘째, 보험설계사는 복잡한 보험 상품의 이해를 돕는다. 보험 약관은 종종 어렵고 복잡한 용어로 작성되어 있다. 일반 소비자가 이를 모두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이때, 보험설계사는 고객에게 보험 상품의 조건과 혜택, 예외 사항 등을 명확하게 설명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상품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다.
셋째, 보험설계사는 보험 가입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험은 장기적인 금융 상품으로, 가입 후에도 여러 가지 상황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보험설계사는 계약 후에도 고객의 상황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보험 계약의 수정이나 추가 보장을 제안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최적의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보험설계사를 선택할 때는 몇 가지 중요한 고려사항이 있다.
먼저, 자격과 경력을 확인해야 한다. 보험설계사는 전문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일정 기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설계사가 신뢰할 수 있다. 자격증과 경력은 그들이 보험 상품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설계사를 선택해야 한다. 보험설계사는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하며, 고객의 상황과 필요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담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고객의 요구에 맞춘 솔루션을 제시하는 설계사가 좋다.
셋째, 서비스의 지속성을 고려해야 한다. 보험 계약은 장기적인 관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계사가 지속적으로 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는 고객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고, 계약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설계사의 평판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른 고객들의 리뷰나 추천을 참고하여 설계사의 신뢰성과 성실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그 설계사가 얼마나 고객에게 신뢰를 받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결론적으로, 비대면 계약이 증가하는 시대에도 보험설계사의 필요성은 여전히 크다. 개인 맞춤형 상담과 복잡한 상품 이해를 돕고, 지속적인 관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설계사는 고객이 최적의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보험설계사를 선택할 때는 자격과 경력, 고객 중심의 태도, 서비스 지속성, 그리고 평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신뢰할 수 있는 설계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움말 인카금융서비스(주) 화랑본부 킹덤지점 김현식 지점장·보험설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