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등 위험지역의 농수산물 구별 불가능
"국민 안전·알권리 위해 식품 행정구역명 표시해야"

위성곤 의원, 후쿠시마산 수산물 '행정구역 표시법' 대표발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 = 위성곤 의원실
사진제공 = 위성곤 의원실

[더페어] 박지현 기자=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제주 서귀포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원전 사고가 발생한 국가의 농수산물 또는 가공품의 원산지 표시를 국가와 행정구역명을 모두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1일 밝혔다.

현행법은 원산지 표시를 국가명으로만 하도록 되어 있어 원전사고가 발생하고 원전 오염수가 바다에 버려지는 일본 후쿠시마 등 위험지역의 농수산물, 가공품이 수입되더라도 이를 구별해 내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위성곤 의원은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후쿠시마를 비롯한 인근 8개현에서 수입된 가공식품이 2만6천36건, 5만3천240톤에 이르지만 국민들이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개정안은 원자로 노심의 현저한 손상을 초래하는 사고가 발생한 국가에서 생산‧채취‧포획‧출하‧가공‧조리‧판매‧제공하는 농수산물 또는 그 가공품의 원산지 표시는 국가와 행정구역명을 모두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했다.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2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위성곤 의원은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방사능 오염 우려가 높은 식품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원전사고가 발생한 국가에서 수입한 농수산물 및 가공품 원산지 표기 시 구체적인 행정구역명을 명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