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노만영 기자=고금리 속에 2030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금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자영업자들의 연체 규모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4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국회의원(비례, 기획재정위)가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로 부터 받은 '개인사업자 가계·기업대출 현황'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335만8천499명의 개인사업자의 대출잔액은 총 1천109조6천658억 원으로 나타났다.

개인사업자의 대출은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을 합한 대출로, 2022년 말(327만3천648명·1천82조6천258억 원)과 비교해 1년 사이 대출자는 8만4천851명(2.6%), 대출잔액은 27조400억 원(2.5%) 늘었다.
같은 기간 이들의 연체금액(3개월 이상 연체 기준)은 18조2천941억 원에서 27조3천833억 원으로 9조892억 원(49.7%)이나 급증했고, 평균 연체율도 1.69%에서 2.47%로 약 0.8%p 상승했다.
연체액은 원금 또는 이자를 90일 이상 갚지 못한 자영업 채무자의 대출액 전체로 정의됐다. 연체율은 이렇게 추산된 연체액이 전체 자영업 채무자의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상황은 1년 사이 더욱 악화됐다.
전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자영업자)는 작년 12월말 기준 173만1천283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335만8천499명) 가운데 절반 이상(51.5%)을 차지했다. 이들의 대출잔액은 691조6천232억 원에 이르렀다.
다중채무 인원과 대출 규모가 1년 전(168만1천164명·675조3천47억 원)보다 5만119명(3.0%), 16조3천185억 원(2.4%) 증가했다.
이들의 연체액은 더욱 가파르게 증가했다.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연체액(21조7천955억 원)은 2022년 말(14조2천950억 원)보다 7조5천5억 원(52.5%) 증가했고, 평균 연체율도 2.12%에서 3.15%로 1.03%p 높아졌다.
연령별로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작년 연체액 증가율을 보면, 30대(30∼39세)가 62.5%(1조7천39억 원→2조7천691억 원)로 가장 높았다.
이어 ▲ 60세 이상 58.0%(2조8천989억 원→4조5천800억 원) ▲ 50∼59세 56.0%(4조4천550억 원→6조9천491억 원) ▲ 40∼49세 43.7%(4조8천811억 원→7조127억 원) ▲ 29세 이하 36.1%(3천561억 원→4천846억 원) 순이었다.
연체율은 29세 이하(6.59%)에서 최고였고, 30대가 3.90%로 두 번째였다. 40대(3.61%)·50대(2.95%)·60세 이상(2.51%)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연체율은 낮아졌다.
1년 사이 연체율 상승 폭도 29세 이하(2.22%p)와 30대(1.63%p)가 1·2위로 가장 높았다.

양경숙 의원은 "젊은 층을 비롯한 자영업자들의 급증하는 대출과 취약한 상환 능력을 감안할 때, 이대로 방치하다가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확대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면서 "정부와 금융당국은 적극적인 자영업자 부실 채무 경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