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이용훈 기자=더불어민주당 양경숙 국회의원(비례, 기획재정위원회)이 각 시도별 소득격차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소득격차도 높은 수준이라고 27일 밝혔다.
양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현황(2022년 기준)’을 보면, 시도별 근로소득 상위 0.1% 고소득자들의 연평균 소득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근로소득 상위 0.1%의 1인당 평균 소득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로, 2022년 기준 6천213명이 평균 13억8천817만 원의 연봉을 받았다. 이어 제주가 평균 10억605만 원(216명)으로 두 번째로 높았고, 경기가 평균 9억4천952만 원(4천832명)으로 세 번째였다.
반면 강원(4억6천268만 원·463명), 세종(4억7천223만 원·166명), 전북(5억374만 원·536명) 등 상위 0.1%의 소득이 서울의 1/3 수준이었다. 전국 기준으로, 상위 0.1%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8천798만원이었다.
시도별 소득격차와 양극화를 파악하기 위한 5분위 배율(하위 20% 소득 대비 상위 20% 소득)을 살펴보면, 전국에서 가장 소득격차가 심각한 곳은 서울이었으며, 상위 20%가 하위 20%보다 무려 18.0배의 소득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소득 하위 20%가 연 666만 원을 벌 때, 상위 20%는 연 1억1천995만 원을 번 것이다. 이어 부산이 15.5배(하위 20% 연 569만 원 상위 20% 연 8천828만 원)로 2위, 경기가 14.6배(하위 20% 726만원, 1억573만 원)로 세 번째로 양극화가 심각했다. 전국 평균은 15.1배였다.
5분위 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9.6배였다. 충북과 전남(11.8배), 제주(11.9배) 순이었다. 세종의 소득 하위 20%가 연 922만 원을 벌었고, 상위 20%는 8천905만 원을 벌었다.

양경숙 의원은 “시도별로 소득격차가 클 뿐 아니라 각 지역내 양극화도 심각한 수준이다”라면서 “소득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별로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