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 대비한 자율임무 수행체계 개발 본격화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AI 국방기술 맞손…차세대 유무인 복합체계 고도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현대로템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현대로템

[더페어] 박소은 기자 = 현대로템이 인공지능(AI) 기반의 차세대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현대로템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현장에서 미국의 AI 전문기업 쉴드AI(Shield 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장 환경에서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복잡한 전투상황에서도 유기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AI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유·무인 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접목하는 것이 목표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정찰·공격과 비선형 전투의 확산으로 무인전력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협력의 핵심은 쉴드AI의 자율전투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 Hivemind Enterprise)’다. 이 기술은 인간의 명령 없이도 다수의 플랫폼이 협력·임무분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미국과 호주 등에서 무인 항공기 및 잠수정에 적용되고 있다.

현대로템은 HME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지상무기에 탑재할 자율드론과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 다족보행로봇 등에 적용 가능한 자율 임무수행 및 군집제어 기술을 단계적으로 내재화할 계획이다. 군집제어는 다수의 무인체계가 하나의 집단처럼 협력 작전을 수행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MUM-T 무기체계를 통합적으로 운용·통제할 수 있는 AI 기반 지휘통제체계(C2) 기술 개발로 나아가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협약은 쉴드AI의 국내 독점 파트너사인 퀀텀에어로(Quantum Aero)를 통해 추진됐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글로벌 전장 양상이 빠르게 진화하는 만큼, AI와 첨단기술을 접목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강화할 것”이라며 “국내 방산의 AI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려 ‘AI 강군’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현대로템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