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형 감소, DC형 중심 머니무브 본격화…글로벌 분산투자 중요성 커져”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퇴직연금 20년 변화’ 분석 리포트 발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투자와연금리포트 보도자료 이미지 / 사진=미래에셋증권
투자와연금리포트 보도자료 이미지 / 사진=미래에셋증권

[더페어] 정도영 기자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의 머니무브가 시작됐다’라는 주제로 투자와연금리포트 제69호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퇴직연금의 중심축이 확실히 DB형에서 DC형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데이터로 분석하고, 그 배경을 임금체계 변화와 제도 개선에서 찾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DB형 퇴직연금의 비중은 2012년 73.9%에서 2024년 49.7%로 감소하며 처음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이는 임금 상승률 둔화와 연공 중심 구조 약화로 DB형의 매력이 줄어든 결과다. 실제로 신입과 장기근속자 간 임금격차는 2016년 2.3배에서 2024년 2.0배로 축소됐으며, 실질임금상승률도 2000년대 평균 2.3%에서 최근 5년간 0%대에 머물렀다.

제도적·운용환경 변화는 DC형 확산을 촉진시켰다. 2015년 ‘포지티브’에서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과 위험자산 한도 상향(40%→70%), 2022년 디폴트옵션 도입 등으로 투자 선택권이 대폭 확대됐다. 승인상품 내 위험자산 편입이 최대 100%까지 가능해지며 DC형의 실적배당형 운용이 본격화된 셈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DC형 가입자의 자산 운용 역량과 금융 이해도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분산투자와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갖춘 TDF(Target Date Fund) 및 일임형 상품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DC형 퇴직연금의 실적배당형 비중은 2024년 23.3%로, 최근 5년간 7.6%포인트 증가했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이규성 선임연구원은 “저성장·임금 평탄화 시대에는 ‘최종임금’보다 ‘지속적인 글로벌 자산관리’가 노후 성과를 좌우한다”며 “디폴트옵션 고도화와 금융교육 확대를 통해 연금자산이 스스로 일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리포트는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