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1만2천명 포함 일 645만명, 연간 24억명 이용
"안전사고 예방 위한 선제적 종합대책 마련 필요”
2·4호선 환승역인 사당역에서 사고 발생 최다

황희 의원, '올해도 벌써 291건' 서울지하철 안전사고 대책 필요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메트로 / 사진출처=더페어DB
서울메트로 / 사진출처=더페어DB

[더페어] 노만영 기자=서울 지하철에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서울시 양천구 갑, 외교통일위원회)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간 서울 지하철 1~9호선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부상자는 총 2,485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1.3명이 지하철 이용 중 다친 것이다.

사진출처=황희 의원 페이스북
사진출처=황희 의원 페이스북

연도별로는 2019년 671명, 2020년 457명, 2021년 482명, 2022년 584명이었고, 올해에도 7월까지 291명이 부상을 당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2020~2021년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지난해부터는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안전사고로 인한 치료비는 총 20억 419만원이 지급되었고, 사고당 평균 87만 5천원이었다. 

지하철 이용 중 본인 과실이나 제3자에 의한 과실을 제외한 역 구내, 승강장, 출입문, 열차 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치료비를 지급받은 이용자만 포함된 수치여서 치료비를 받지 않은 경미한 부상자까지 더하면 부상자 수는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서울지하철 / 사진출처=더페어DB
서울지하철 / 사진출처=더페어DB

사고 유형별로는 출입문 끼임 사고가 747명으로 30.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역 구내 사고 604명(24.3%), 열차 내 사고 564명(22.7%), 승강장 발빠짐 사고 320명(12.9%), 승강설비사고 213명(8.6%) 순으로 많았다.

노선별로는 지하철 2호선이 603명으로 전체 부상자의 24.3%를 차지했고, 이어서 4호선 382명(15.4%), 9호선 335명(13.5%), 7호선 278명(11.2%), 3호선 263명(10.6%) 순으로 많았다.

부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역은 사당역(2호선)으로 64명이 다쳤고, 이어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4호선) 49명, 신도림역(2호선) 39명, 당산역(9호선) 39명, 구로디지털단지역 33명, 충무로역(3호선)·사당역(4호선) 31명 순으로 많았다.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은 “서울 지하철은 수송인원·운영역수 세계 3위, 영업거리·보유차량 세계 4위를 차지할 만큼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했고, 호주,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 등의 국가들과 해외사업도 진행하고 있다”며,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하루 1만2천명을 포함해 하루 645만 명, 연간 24억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종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