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임세희 기자=동아에스티, 뉴로보 파마슈티컬스가 이뮤노포지와 손잡고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 개발에 공동으로 나선다.
동아에스티(사장 정재훈) 및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 대표 김형헌)는 이뮤노포지(대표이사 안성민, 장기호)와 이뮤노포지의 1개월 약효지속형 반감기 연장 ELP(Elastin-Like Polypeptide)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비만치료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뉴로보의 비만치료제 후보물질과 이뮤노포지의 ELP 기술이 결합된 공동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뮤노포지의 최고기술책임자인 짐 밸런스 박사가 개발한 1개월 약효지속형 반감기 연장 ELP 플랫폼 기술은 약물의 반감기를 최대 20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미 안정성이 증명된 ELP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약 프로니글루타이드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First-in Class 약물인 Pemziviptadil은 미국 FDA에 임상2상 IND 제출을 준비 중이다.
이외에도 다수의 파이프라인에 대해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지난해 5월에는 ELP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기술이전을 성공적으로 이룩해 2026년에는 코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3년 60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1,000억 달러 성장이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아에스티 R&D 총괄 박재홍 사장은 “이뮤노포지의 ELP 플랫폼을 통해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더욱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뮤노포지와 긴밀히 협력하고 연구개발 역량을 끌어올려 베스트인클래스 비만치료제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 김형헌 대표는 “이번 공동연구는 경구제 개발 등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비만 시장에서 경쟁약물들과 차별화 및 환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기지속형 DA-1726 개발의 시발점이다”며, “이뮤노포지의 ELP 플랫폼이 장기지속형 펩타이드 개발에 있어 혁신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뮤노포지의 안성민, 장기호 공동대표는 "국내 최고 제약회사 중 하나인 동아에스티, 뉴로보와 이번 계약을 통해 자사 ELP 플랫폼 기술의 잠재력을 재확인하게 되었고, 또한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어 기쁘다"며, "계속해서 ELP 플랫폼에 대해 국내외 회사들과의 Open Innovation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동아에스티가 개발하고 있는 치매치료제 DA-7503가 타우 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