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홍미경 기자 = CJ제일제당이 차세대 K-푸드 육성할 아이템으로 인기 고공행진 중인 ‘고메 소바바치킨’을 꼽았다.
CJ제일제당은 ‘고메 소바바치킨’이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누적 매출 1천억원을 돌파했다고 15일 밝혔다.
작년 4월 ‘소이허니’ 출시 후 1년 6개월만으로, 올해 3월 후속작으로 선보인 ‘양념’ 매출의 가파른 증가세를 감안하면 앞으로 더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된다.
‘고메 소바바치킨’은 CJ제일제당이 독자개발한 ‘소스코팅’ 기술을 적용해 냉동치킨 특유의 눅눅함을 없애고 전문점 수준의 갓 튀긴 듯한 바삭함을 구현한 제품이다.
특히, 간장 특제소스를 입힌 ‘소이허니’는 외식에서나 맛볼 수 있었던 ‘단짠’의 조화로운 맛을 제대로 구현하면서 너겟과 후라이드 치킨 중심이었던 국내 냉동치킨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가성비 트렌드 속에서 ‘전문점 못지 않은 맛 품질’로 입소문을 타면서 출시 초기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 글로벌 진출, 만두 이을 차세대 K-푸드 집중육성
CJ제일제당은 ‘고메 소바바치킨’의 국내 성과를 발판 삼아 글로벌 진출도 계획 중이다. 빠른 시일 내 해외 주요 국가에도 선보이며 만두의 뒤를 이을 차세대 K-푸드로서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한편, CJ제일제당은 ‘고메 소바바치킨’의 새로운 디지털 캠페인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광고 영상에는 10월 공개 예정인 넷플릭스 ‘지옥 시즌2’의 주연인 배우 김성철이 등장해 바삭함에 얽힌 풋풋하고 설레는 러브 스토리를 보여준다.
특히 광고 속 두 남녀의 대화 중간에 삽입된 ‘바삭’하는 효과음은 실제 소바바치킨 소리를 활용한 것으로, ‘고메 소바바치킨’의 남다른 바삭함을 실감나게 표현해 관심을 모은다.

◇ 디지털 캠페인·소비자 프로모션 실시
이와 함께 다양한 소비자 프로모션도 마련했다. 10월과 11월에 걸쳐 CJ제일제당 공식몰 ‘CJ더마켓’을 비롯한 주요 온라인몰에서 ‘고메 소바바치킨’ 할인 기획전을 진행하며, CJ더마켓에서는 10월 30일부터 3주 간 캠페인 영상 속 ‘바삭’ 소리에 숨겨진 대사를 채워 넣는 ‘아무 바삭 대잔치’ 이벤트를 실시한다.
김지은 CJ제일제당 고메 브랜드 팀장은 “냉동치킨의 한계를 극복한 ‘고메 소바바치킨’만의 차별화된 맛 품질로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소비자 니즈에 맞는 보다 새로운 제품들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식물성 식품과 가공밥 시장의 성장
이보다 앞서 CJ제일제당은 가공밥 등 푸드 제품등과 식물성 식품을 차세대 K푸드로 꼽은바 있다.
CJ제일제당이 ‘식물성 식품(Plant-based)’ 사업을 본격화해 K-푸드의 영역을 확대하고, 그룹 미래 성장엔진인 Wellness·Sustainability 추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2025년까지 매출 2,000억 원 규모로 사업을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일으키겠다는 목표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21년 전문 브랜드 ‘플랜테이블(PlanTable)’을 론칭하고 비건 만두와 김치를 시작으로 식물성 식품 사업을 시작했다.
식물성 식품 라인업 확대를 위해 CJ제일제당은 이달 플랜테이블 떡갈비·함박스테이크·주먹밥을 선보이기도 했다. 신제품 4종은 고기 없이도 풍부한 식감과 촉촉한 육즙이 특징이며, 이탈리아 V라벨 비건 인증을 받아 재료는 물론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철저하게 관리했다.
특히 고기를 대체하는 식물성 소재인 ‘TVP(Textured Vegetable Protein)’를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개발해 고기 함량이 높은 떡갈비 등에 적용했다.
이 소재는 대두∙완두 등을 자체 공법으로 배합해 만든 식물성 단백질로, CJ만의 차별화된 R&D와 제조 기술을 통해 단백질 조직들이 촘촘히 엉겨 붙도록 만듦으로써 실제 고기에 버금가는 탄력 있는 육질과 육즙을 구현했다.
특히 조리 과정에서 열을 가한 후에도 고기의 맛과 식감이 유지되며,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할 수 있어 국∙탕∙찌개 등 한식은 물론 양식에도 적합하다. CJ제일제당은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카테고리의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최적화된 Plant-based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인천 2공장에 연 1천 톤 규모의 자체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향후 국내는 물론 글로벌 사업 확대에 맞춰 추가 증설도 검토할 계획이다.
Plant-based 제품의 해외 시장 반응도 뜨겁다. 출시 후 6개월 만에 미국, 일본, 호주 등 20개국 이상으로 수출국을 늘렸으며 미국, 싱가포르 등 국가에서는 소비자 반응이 좋아 취급 품목을 확대했다.
식물성 식품의 글로벌 시장은 현재 약 26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건강, 환경,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38%가 윤리적, 종교적 이유로 채식을 선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은 식물성 식품의 다양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해 연구 및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