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임세희 기자 = 신한투자증권(대표 김상태)은 2일, 토큰증권(STO) 발행 및 유통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인 '프로젝트 펄스(PULSE)'의 아키텍처와 기능을 담은 백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 금융기관이 디지털 자산 관련 백서를 공식적으로 발표한 첫 사례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금융 혁신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프로젝트 펄스는 조각투자 및 혁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STO 플랫폼으로, 금융위원회의 '토큰증권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분산원장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발행과 유통을 분리하는 구조를 통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고, 이해상충을 예방하여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이번에 발간된 백서는 신한투자증권 블록체인 스크럼 팀의 공동 작업으로 이뤄졌으며, 인프라 설계와 핵심 기술 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백서에는 로드밸런싱, 오토 스케일링, 데이터베이스 확장성과 고가용성 확보 방안,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API 게이트웨이,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
펄스 인프라의 분산원장 기술은 갤럭시아머니트리 항공기 엔진 신탁수익증권 발행에 적용될 예정이며, 이는 STO 가이드라인 이후 최초로 상용화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프로젝트 펄스 관계자는 “펄스의 분산원장은 갤럭시아머니트리 사례를 시작으로 다양한 사업 모델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계획”이라며, “STO 법제화와 시행령 작업에서 중요한 참고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펄스 인프라 구축과 백서 발표는 자본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그동안 접근이 어려웠던 다양한 자산에 대한 투자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