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하락 따른 순이자마진 축소 및 자산관리 수수료 감소 영향
자산 7조원 이상 확대, ROA·ROE 모두 크게 개선
ESG 경영 선도…6년 연속 지배구조 A+ 등급 획득

SC제일은행, 1분기 당기순이익 174% 급증…견실한 자산 건전성 유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C제일은행 본사 전경/사진=SC제일은행
SC제일은행 본사 전경/사진=SC제일은행

[더페어] 정도영 기자 = SC제일은행이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으로 1,11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408억 원) 대비 174.3%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반면 영업이익은 1,366억 원으로 같은 기간 23.0% 감소했다.

이번 순이익 급증은 지난해 1분기에 홍콩 H지수 ELS 관련 배상 추정액 1,329억 원을 일회성 영업외비용으로 반영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주요 원인이다. 영업이익 감소는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한 순이자마진(NIM) 축소와 자산관리 부문 수수료 감소, 외환 및 파생상품 관련 이익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자이익은 고객여신 증가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으로 3,216억 원에서 3,073억 원으로 4.5% 줄었으며, 비이자이익은 자산관리 판매수수료 및 외환·파생 손익 감소로 990억 원에서 880억 원으로 11.1% 감소했다. 

영업비용은 효율적인 관리 노력 덕분에 전년 대비 1.0% 소폭 줄어든 2,260억 원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티몬/위메프 관련 충당금 추가 적립으로 충당금 전입액은 150억 원에서 327억 원으로 118% 늘었다.

자산 규모는 2024년 12월 말 85조 8,409억 원에서 2025년 3월 말 93조 3,182억 원으로 약 7조 4,773억 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외환파생상품 자산의 증가가 이를 견인했다.

수익성 지표도 개선돼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19%에서 0.51%로,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3.09%에서 8.23%로 크게 상승했다. 자산 건전성 지표 역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1%로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됐다.

한편, 3월 말 기준 BIS 총자본비율(CAR)은 19.08%,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5.90%로 감독 당국 기준을 안정적으로 상회하며 충분한 자본적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SC제일은행은 글로벌 스탠다드차타드(SC)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자산관리와 기업금융 서비스를 강화 중이다. 투자 테마 기반의 글로벌 자산관리 전략과 디지털 혁신 상품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으며, 매년 1월과 7월에는 시장전망 및 투자전략 세미나를 개최해 고객과의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50여 개국에 걸친 SC 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들에게 해외 투자와 무역 관련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도 적극 나서 6년 연속 한국ESG기준원(KCGS) 지배구조 A+ 등급을 획득했으며, 2020년과 2021년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수상하고 2022년부터 3년 연속 지배구조 명예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국내 금융권 ESG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SC제일은행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