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과 남산을 품은 스카이브릿지, 조망 극대화한 입체 설계 눈길
세계적 건축가 벤 반 베르켈 참여…서울시 인허가 기준까지 고려한 완성형 설계
지역난방 도입과 포스맥 적용으로 외관 품격과 거주 만족도 동시 강화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에 자연을 담은 프리미엄 랜드마크 설계 제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티에르 용산 스카이브릿지 / 사진=포스코이앤씨
오티에르 용산 스카이브릿지 / 사진=포스코이앤씨

[더페어] 박소은 기자 = 포스코이앤씨가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 개발을 위한 설계 제안에서 서울의 자연 경관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혁신적 디자인을 공개했다. 이번 제안은 서울을 대표할 미래형 주거 랜드마크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한강의 유려한 곡선미와 남산의 풍경에서 영감을 받아, 단지 외관에 물결무늬를 형상화한 웨이브 디자인을 적용했다.

특히 건물 외벽과 오피스텔 발코니에 이 리듬감 있는 곡선을 활용해 도시적 감성과 자연의 흐름을 동시에 담아냈다.

핵심 설계 요소 중 하나는 각각 한강과 남산 조망이 가능한 두 쌍의 타워를 스카이 브릿지로 연결한 구조다. 입주민들은 이 스카이 브릿지를 통해 단지 내에서 자연을 체감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외부 도로를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대한 인허가 기준이 강화된 상황을 고려해, 포스코이앤씨는 스카이 브릿지를 단지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기준을 충족하고 설계의 조화로움을 더했다.

이번 설계에는 세계적 건축가 벤 반 베르켈(Ben van Berkel)이 참여했다. 그는 서울시의 ‘서울총괄건축가 파트너스’ 소속으로, 국내외 도시개발 전문가들과 협력해 서울시 인허가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미적 완성도를 갖춘 설계를 구현했다.

포스코이앤씨는 또한 주거 쾌적성과 외관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난방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실내 공간 활용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관리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입주민의 생활 만족도를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외벽 마감재로는 포스코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프리미엄 철강재 '포스맥(PosMAC)'이 사용됐다. 일반 강판 대비 10배 이상의 내식성을 지닌 이 자재는 지속가능성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소재로, 단지의 외관을 한층 더 견고하고 세련되게 완성시켰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세계적인 건축 전문가와 긴밀히 협업해 용산만을 위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완성했다”며, “'오티에르 용산'은 입주자들의 삶의 가치를 높여줄 새로운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