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건강 효능 입증된 국산 황해쑥, 기능성 원료·제품 개발 본격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평안애’ 보급·재배 지원, 동아제약 제품화 추진
안정적 원료 수급 기반으로 국산 생약 산업 경쟁력 강화

동아제약, 국산 황해쑥 ‘평안애’ 산업화 박차…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MOU 체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아제약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의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동아제약 윤춘희 연구소장(왼쪽)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박정관 인삼특작부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동아제약
동아제약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의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동아제약 윤춘희 연구소장(왼쪽)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박정관 인삼특작부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동아제약

[더페어] 정유선 기자 = 동아제약이 국산 생약 원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4일 동아제약(대표이사 백상환)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황해쑥 국산 품종 ‘평안애’의 산업화 확대를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산 원료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을 기반으로 기능성 제품 개발을 본격 추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아제약은 이미 황해쑥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허가받아 ‘위 점막 보호 및 위 건강 도움’ 기능성을 확보했다. 해당 원료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에서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을 가진 성인 9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투여한 결과, 위장관 증상 평가척도(GSR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입증했다.

이번 협약 대상인 황해쑥 ‘평안애’는 2024년 농촌진흥청이 품종 등록을 완료한 국산 품종으로, 위를 편안하게 해 몸과 마음의 안정을 찾는 의미에서 명명됐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평안애’의 보급과 농가 연계 지원을 맡고, 동아제약은 기능성 연구 및 제품 개발을 담당한다. 아울러 생산 농가는 원료 재배와 품질 관리를 맡아 국산 원료 산업화에 기여하게 된다.

윤춘희 동아제약 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으로 국산 원료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차별화된 기능성 소재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며 “평안애를 활용한 효능 연구를 심화해 소비자들에게 신뢰받는 건강기능식품을 선보이겠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동아제약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