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생이 함께 만드는 미래형 학습공간…‘수업브랜드 갖기’ 운동도 병행

전남교육청, 2026년 ‘2030교실’ 110개 추가 구축…수업 혁신 본격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순오성초_2030미네르바_교실_수업 / 사진=전라남도교육청
화순오성초_2030미네르바_교실_수업 / 사진=전라남도교육청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 혁신을 위해 내년(2026년) ‘2030교실’ 110개를 추가 구축한다. 올해까지 유아 51개, 초등 43개, 중등 39개 등 총 133개를 운영 중인 전남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격차 심화 등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해 ‘전남 수업 대전환’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030교실은 교사가 중심이 되어 수업 철학과 교육 비전을 실현하고, 학생의 주도적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미래형 수업 공간이다. 내년 신규 선정될 110개 교실은 공모를 통해 유아 30개, 초등 40개, 중등 40개로 구성된다.

전남교육청은 기본형, 맞춤형, 지속형으로 구분된 지원체계를 유지하면서, 학교 여건과 발전 단계에 따라 운영 방식을 다변화할 방침이다.

기본형은 교사의 수업 역량을 높이고 시공간을 초월한 협력 수업을 지원하는 모델로, 국내외 학교 및 전문가와의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맞춤형은 교사의 철학을 반영한 브랜드형 교실로, ‘미네르바교실’, ‘감수성교실’ 등 학생 중심의 수업을 확산한다.

지속형은 기존 교실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와 연구회를 운영하며 교사 간 성장과 수업 혁신을 이어가는 형태다.

내년에는 특히 맞춤형 교실에 대해 학생 수와 수업 브랜드, 공간 특성을 반영한 예산 지원이 이뤄진다. 아울러 ‘2030수업교사’와 ‘2030수업연구회’를 운영해 수업 나눔 문화를 확산하고, 국내외 교육기관과 공동수업을 추진하는 ‘2030수업교류’도 강화한다.

또한 전남교육청은 ‘2030교실 인증제’를 도입해 우수 교실을 선정·인증하고,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와 수업 브랜드화를 장려한다. 교사별로 자신만의 수업 철학을 시각화한 ‘수업 맛집 가이드맵’을 제작해, 학교별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세워갈 예정이다.

한편, 전남교육청은 오는 10일 오후 3시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초등 2030교실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는 운영 방향 안내와 사례 공유, 신청 절차 안내 및 질의응답으로 구성되며, 유튜브 채널 ‘전남교육1TV’에서 생중계될 예정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2030교실은 교사들이 자신만의 교육 철학을 교실 속에서 실현하는 공간이자, 전남 수업 대전환의 중심축”이라며 “교사들의 열정과 전문성이 학생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현장 혁신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