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이 2019년부터 추진해 온 ‘고교학점제 학교공간 조성사업’을 통해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미래형 학습환경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2019년 3개교를 시작으로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현재까지 일반고 70여 교 학점제형 학교 공간 구축을 완료했다.
이 사업은 학생 개개인 진로와 학습 특성에 맞춘 유연한 학습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며, 학교와 수업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고교학점제 운영이 원활하도록 기존 교실 구조를 탈피해 △가변형 교실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공간 △홈베이스 △온라인 학습카페 등 다양한 선택형 학습공간이 마련됐다.
학생들은 이동과 선택 중심 수업을 경험하며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키우고 있다. 올해는 곡성고와 여천고를 대상으로 2차 컨설팅을 마쳤으며,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학생과 교직원 의견을 반영해 설계 방향을 구체화하고, 학생 참여형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모형 제작, 발표, 현장 체험 등 단계별 설계 과정을 함께 추진했다.
이를 ‘교육과정-공간 연계형 맞춤 설계’로 완성해 공간 실효성을 높였다. 새롭게 조성되는 공간에는 학생 학습지원 집중 공간, 열린 도서관, 공유교실, 대형 강의존 등이 포함된다.
이 공간들은 단순한 수업 장소를 넘어 모둠 프로젝트 수업, 융합형 실습, 자기주도 학습,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가능한 ‘학생 선택형 배움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해당 공간은 고교학점제 수업뿐 아니라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자율학습, 휴게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학교 운영을 지원하며, 학교 간 협력과 학생 선택권 확대에 실질적 역할을 하고 있다.
박철완 전남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공간이 바뀌면 학교와 수업이 바뀐다”며 “모든 학교가 학생 선택과 배움이 살아 있는 학점제형 공간으로 재구조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