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선택과 진로 맞춘 유연한 학습환경 구축
70여 일반고 완료…미래형 선택교육과정 기반 마련

전남교육청, 고교학점제 맞춤형 학교공간 구축…“공간 바꾸는 수업 혁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영여자고등학교 문화예술 활동실 / 사진 = 전라남도교육청
부영여자고등학교 문화예술 활동실 / 사진 = 전라남도교육청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이 2019년부터 추진해 온 ‘고교학점제 학교공간 조성사업’을 통해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미래형 학습환경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2019년 3개교를 시작으로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현재까지 일반고 70여 교 학점제형 학교 공간 구축을 완료했다.

이 사업은 학생 개개인 진로와 학습 특성에 맞춘 유연한 학습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며, 학교와 수업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고교학점제 운영이 원활하도록 기존 교실 구조를 탈피해 △가변형 교실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공간 △홈베이스 △온라인 학습카페 등 다양한 선택형 학습공간이 마련됐다.

학생들은 이동과 선택 중심 수업을 경험하며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키우고 있다. 올해는 곡성고와 여천고를 대상으로 2차 컨설팅을 마쳤으며,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학생과 교직원 의견을 반영해 설계 방향을 구체화하고, 학생 참여형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모형 제작, 발표, 현장 체험 등 단계별 설계 과정을 함께 추진했다.

이를 ‘교육과정-공간 연계형 맞춤 설계’로 완성해 공간 실효성을 높였다. 새롭게 조성되는 공간에는 학생 학습지원 집중 공간, 열린 도서관, 공유교실, 대형 강의존 등이 포함된다.

이 공간들은 단순한 수업 장소를 넘어 모둠 프로젝트 수업, 융합형 실습, 자기주도 학습,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가능한 ‘학생 선택형 배움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해당 공간은 고교학점제 수업뿐 아니라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자율학습, 휴게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학교 운영을 지원하며, 학교 간 협력과 학생 선택권 확대에 실질적 역할을 하고 있다.

박철완 전남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공간이 바뀌면 학교와 수업이 바뀐다”며 “모든 학교가 학생 선택과 배움이 살아 있는 학점제형 공간으로 재구조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