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박지현 기자=올해 제주항공은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체계를 강화해 ESG경영 선도 항공사로 한 걸음 더 내디뎠다고 밝혔다.
27일 제주항공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3년 상장기업 ESG평가에서 환경 부문 A, 사회 부문 A+, 지배구조 부문 B+를 평가받아 지난해 통합 등급 B에서 두 단계 상승한 A 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환경 부문에서 지난해 C등급 대비 세 단계 상승한 A등급을, 사회 부문에서 지난해 B+등급 대비 두 단계 상승한 A+등급을 획득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전사적 환경경영 체계를 구축해 환경 부문 리스크 최소화에 집중했다.
국제표준화기구가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인증을 획득하고 녹색구매 경영을 강화하는 한편 환경 전담 조직 운영, 온실가스·폐기물·에너지 관련 중장기 목표 수립 등 실질적인 환경 리스크 최소화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이 예정된 차세대 항공기(B737-8)의 운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항공기 운항에 따른 탄소 배출에도 직접적인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폐기처분 승무원 유니폼을 재활용한 리프레시 백 제작, 임직원 헌 옷 기부 행사, 모두락 우유팩 다시쓰기 캠페인, 에코 환경정화활동 등 친환경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참여한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제주항공은 사회부문에서도 지난해 B+등급 대비 두 단계 상승한 A+등급을 획득하며 국적 저비용항공사(LCC) 중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다. 설립 이후 꾸준히 나눔 경영에 힘써온 제주항공은 올해부터 '소비자 중심 경영'과 '협력사 상생 경영' 활동에 집중해 왔다.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 노력을 통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2년 연속 '정보보호 투자 우수 기업'에 선정됐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증하고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제도인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을 목표로 전사적 TF를 발족해 VOC 관리체계 고도화·서비스 품질 교육 강화·소비자 권익 보호 중장기 목표 수립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협력사 상생경영을 위해 직무역량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노동·인권과 안전·보건, 환경, 윤리분야에서 동반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행동규범을 제정하기도 했다.
이밖에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인권 경영정책 제정 ▲제주지역 상생 사업 지속 추진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가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들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정보공시 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지배구조 부문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지속가능 경영은 모든 기업이 추구해야 할 필수적인 경영방침임을 인지하고 앞으로도 ESG경영 강화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7일 제주항공이 임직원들의 자발적 헌혈 캠페인 활동을 통한 생명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창립 118주년 기념 혈액사업 유공 표창을 받았다. 이번 표창은 대한적십자사가 창립 118주년을 기념해 적십자 인도주의 운동에 적극 참여해 인간의 생명보호를 위한 혈액사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제주항공은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2019년부터 매 짝수 달마다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헌혈 캠페인을 전개해 안정적인 혈액 수급에 힘을 보태고 있다. 임직원들의 헌혈 활동 참여와 헌혈 증서 기부를 통해 제주혈액관리본부와 한국백혈병 어린이재단에 지정기부하기도 했으며, 지난 6월에는 세계 헌혈자의 날을 맞아 서울중앙혈액원에 헌혈자 지원 물품을 기증하는 등 헌혈 문화 정착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