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국토교통위원장·국토부 차관 면담
"만성적 교통정체 해소 위해 반드시 강동구 경유해야"

진선미 의원, GTX-D 강동구 경유 적극 피력…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더페어] 박지현 기자=더불어민주당 진선미 국회의원(서울 강동구 갑, 기획재정위원회)이 지난달 30일 김민기 국토교통위원장과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을 만나 'GTX-D 강동구 경유 노선'과 '고덕대교' 명칭 확정을 건의했다. 

진선미 의원은 김민기 국토교통위원장과 함께 백원국 국토부 2차관에게 수도권 동부 대규모 도시공간 변화와 광역교통 수요에 대응하고 수도권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GTX-D 노선이 강동구를 경유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전달했다.

국토교통부 장관 등 개각을 앞두고 있어 GTX-D 노선과 고덕대교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갈 차관을 만나 의견을 전달했으며, 이 자리에는 박지홍 국토부 철도국장과 철도건설과장, 도로정책과장이 배석했다. 

강동구는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 등 대규모 재건축·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고덕비즈벨리와 강동일반산업단지가 추가 개발되면서 서울시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또한 지리적으로 붙어 있는 하남 미사지구가 개발되면서 지하철 등 대중교통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 지하철 열차 내 혼잡도가 가중되고 있고, 올림픽대로 등 도로 정체도 극심해지는 등 교통 혼잡이 심각한 상황이다.

앞서 진 의원은 국토교통부에 지속적으로 강동구 경유 GTX-D 노선 확정을 건의해 왔다. 지난 2020년 강동구 GTX-D 노선을 촉구하는 대대적인 주민 서명운동을 전개하여 약 11만 명의 주민 서명부를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제출하고, 강동구·하남시 GTX-D 신설 토론회 및 유치위원회 발족, GTX 플러스 국회 토론회 개최 등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국토부 차관은 "유관기관들과 긴밀히 협의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진 의원은 강동구는 서울의 동부 관문 도시로서 지하철 5·8·9호선을 통해 수도권 외곽에서 유입되는 교통수요를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으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최적의 교통요충지라며, 경제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 '수도권광역급행철도 확충 통합기획 연구'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강동구를 경유하는 GTX-D 노선을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

진 의원은 세종포천고속도로 한강 횡단 교량의 명칭을 고덕대교로 최종 확정할 것을 건의했다. 2016년 착공된 해당 교량은 계획단계(예비타당성조사)에서부터 고덕대교라는 명칭으로 계속 사용해 오고 있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국토부 차관에게 GTX-D 노선 강동구 경유 고덕대교 명칭 확정 건의 / 사진제공=진선미 의원실

명칭의 일관성, 구리암사대교와의 차별성, 강동구 내 5만 가구가 약 7년간 분진과 소음피해를 감내해온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고덕대교로 명칭이 확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서를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진 의원은 "GTX-D 노선은 수도권 동부권역과 서부권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인 만큼, 서울의 주요 교통요충지인 강동구가 노선에 포함되어 서울 동남권과 동부권의 교통수요를 반영하는 것이 사업 타당성 확보에 유리하다"며, "강동구 내 재건축,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유동 인구 증가에 대비하고, 만성적 교통정체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GTX-D 노선은 반드시 강동구를 경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