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환경에 최적화된 무인 플랫폼 소개
국내 방산업체 협업 통해 중동 시장 공략

현대로템, 2024 사우디 국제방산전시회 참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현대로템 / 2024 사우디 국제방산전시회 현대로템 다목적 무인차량과 부스 전경
사진제공=현대로템 / 2024 사우디 국제방산전시회 현대로템 다목적 무인차량과 부스 전경

[더페어] 박희만 기자=현대로템이 중동 시장에서 첨단 지상 무인 플랫폼 기술력을 선보였다.

현대로템은 지난 4일(현지시간) 부터 8일까지 5일간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에서 개최되는 '2024 사우디 국제방산전시회'에 참가한다고 5일 밝혔다.

올해 2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는 사우디 국방부와 방사청·국영 방산업체인 SAMI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총 45개국의 750여개 방산 업체가 참가해 지상무기체계부터 우주 국방 분야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을 교류하게 된다.

현대로템은 지상 무인 플랫폼 라인업을 앞세워 시장 거점 확대를 위한 영업 활동에 나선다. 중동 시장에서는 첫 선을 보이는 실물 크기의 다목적 무인차량과 디펜스 드론을 포함해 사막색으로 도색된 중동형 다목적 무인차량이 목업으로 전시된다.

최근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무인 체계 기술은 미래 전장 환경에 대비할 핵심 분야로 꼽힌다. 전세계적인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인해 병력 자원이 줄어들고 있는 데다 자율주행·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첨단 무인화 장비가 향후 병력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다목적 무인차량은 다양한 작전·임무에 활용될 수 있는 넓은 확장성을 갖췄다. 부상병이나 탄약·군장을 이송하거나 고속충전장치·원격무장장치를 탑재해 감시·정찰 임무 등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번에 전시되는 중동형 다목적 무인차량에는 LIG넥스원의 대전차유도무기가 탑재된다.

무인차량은 방위사업청에 현대로템이 처음 사업 아이디어를 제안한 뒤 2020년 12월 신속시범획득사업을 단독 수주하면서 연구개발에 본격 착수됐다. 신속시범획득사업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발전 속도에 맞춰 첨단 무기체계를 군에 빠르게 도입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현대로템의 다목적 무인차량은 2021년 7월 국내 최초로 군에 시제 차량 2대가 납품된 후 6개월 간 진행된 야전 시범 운용을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군의 긴급 소요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해 6월과 9월에는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과 건군 75주년 국군의날 행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사진제공=현대로템
사진제공=현대로템

현대로템 관계자는 "육군 현행 작전 및 다양한 전투실험과 시범운용에 투입되며 성능과 기술력을 공인 받은 다목적 무인차량을 중심으로 현대로템의 우수한 무인 체계 기술력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로템이 개발한 열차제어시스템 '무선통신기반 차상 열차 자동제어시스템(KTCS-2, Korean Train Control System 2)'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IR(Industrial Research)52 장영실상'의 수상 제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