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집중호우로 국보 및 보물 등 국가유산 심각한 피해, 복구 예산 부족으로 절반 이상 복구 난항
7월 한 달간 집중호우로 국보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보물 ‘ 부여 대조사 석조 미륵보살입상 ’ 등 국가유산 피해 49 건 달해
국가유산 긴급보수사업비 41 억 중 35 억 이미 사용 → 올해 피해 국가유산 49 건 중 27 건 (55%) 도 사업비 부족으로 연내 지원 불가능

김승수 의원 "장마 시작 전 피해복구 예산 80% 사용 예견된 수순…피해 예방·추가피해 막기 위한 예산확보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페어] 임세희 기자 =올해 7월 한 달간 집중호우로 인해 국보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보물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등 총 49건의 국가유산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 중 절반 이상은 긴급 보수사업비 부족으로 인해 올해 내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가유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7월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40건의 국가유산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이외에도 9건의 국가유산 주변이 파손됐다. 지역별로는 충청남도가 15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고, 경상북도 14건, 경기도 6건, 전라북도 5건 등이 뒤를 이었다.

피해 유형을 보면, 국보 3건, 보물 4건, 사적 23건, 천기 9건, 명승 3건, 국민 6건, 등록문화재 1건이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인 국보 안동 봉정사 극락전의 배면 사면 및 석축이 붕괴됐고, 보물인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아래쪽 사면이 붕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빈도 증가와 그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가유산 피해는 매년 반복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41억 원이었던 국가유산 긴급보수사업비 예산은 2023년에 40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예산 부족으로 인해 피해 복구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올해 발생한 국가유산 피해 49건 중 27건(55%)은 복구가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김승수 의원은 “지난해 발생한 국가유산 피해 복구 작업이 올해 장마철이 오기 전 이미 예산의 80%가 사용된 것은 예견된 상황이었다”며, "예산 부족으로 인해 복구 작업이 지연되면서 다음 해로 미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집중호우뿐만 아니라 지진, 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한 국가유산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충분한 예산 확보를 통해 복구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고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김승수 의원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