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질오르다주 농업 관계자 초청, 전북 농생명 기술 전수
쌀 생산성 증대 및 수자원 관리 기술 학습
전북 기업의 농기계 기술 소개 및 수출 기반 마련
향후 카자흐스탄과의 지속적인 협력 계획 밝혀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농업 관계자 대상 농생명 기술 연수 실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농업 관계자 대상 농생명 기술 역량강화 연수 운영 / 사진=전라북도특별자치도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농업 관계자 대상 농생명 기술 역량강화 연수 운영 / 사진=전라북도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국제협력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농업 관계자를 초청해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농생명 기술 연수’를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8일까지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크질오르다주와 전북자치도 간의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크질오르다주 농업 정책 입안자 및 관련자 10명이 참여했다.

크질오르다주는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이 생을 마감한 역사적 장소이자, 한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한 초기 많은 고려인들이 정착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카자흐스탄 내 쌀 생산의 주요 거점으로, 2023년 크질오르다주 대표단이 전북도를 방문했을 때 농생명 분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연수 과정에서는 전북도의 쌀 생산성 증대를 위한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는 데 중점을 뒀으며, 국립식량과학원,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농협양곡 익산통합미곡종합처리장 등 쌀 생산 및 가공 관련 기관을 방문해 현장 견학을 진행했다.

또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자원 관리 및 관개비용 절감에 대한 관심이 큰 크질오르다주 관계자들은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와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 동방이노베이션의 스마트 물꼬 시스템 설치 지역을 탐방하며 관련 기술을 학습했다.

더불어, 농기계와 비료 활용에 대한 지식도 공유하기 위해 TYM 익산공장과 나라바이오를 방문하여 전북지역 기업의 우수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카자흐스탄으로의 농기계 수출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김대식 원장은 “크질오르다주는 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품종 개발과 관개시설 도입을 희망하고 있어, 전북도가 가진 농생명 기술과 인프라를 나누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연수를 시작으로 카자흐스탄과의 농생명 분야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흥원은 2024년에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7개국을 대상으로 전북자치도의 농생명 분야 우수 경험을 전수하는 초청 연수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