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점 및 광주점, 자활기업으로 전환 완료
저소득 청년들 위한 지속적인 창업 기회 제공 계획
100년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 다할 것

하이트진로, 청년 자립지원 프로젝트 ‘두껍베이커리’ 성료..."사회적책임 다할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껍베이커리 창원점 / 사진=하이트진로
두껍베이커리 창원점 / 사진=하이트진로

[더페어] 임세희 기자 =하이트진로(대표 김인규)는 청년 세대 지원을 위한 청년 자립 지원 프로젝트인 ‘두껍베이커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10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2021년 광주동구지역자활센터와 협력해 개설한 ‘두껍베이커리 광주점’이 3년 만에 지난해 11월 자활기업으로 전환됐음을 알렸다.

이에 따라 창원 1호점과 광주 2호점 모두 자활기업으로 전환되며, ‘두껍베이커리’의 인큐베이팅 지원은 공식적으로 종료된다.

자활기업은 자활근로사업단 소속으로 매장 운영 및 기술을 습득한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조합형 법인이다. 이는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목표이자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

하이트진로는 2020년부터 저소득 청년들에게 베이커리 카페 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홍보를 지원하는 등 자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인큐베이팅 기간 동안 청년들은 카페 운영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임대료 지원, 제과제빵 및 바리스타 교육, 매장 운영 전문가의 인력 비용 지원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시그니처 제품 개발, 굿즈 판매 매대, 내부 인테리어와 포장재 개선 등을 통해 두꺼비 캐릭터를 활용한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2020년 창원점이 2022년에, 2022년 광주점이 지난해 자활기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인큐베이팅 지원은 마무리된다. 하이트진로는 무상 임대 기간을 보장하고 두꺼비 굿즈를 활용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청년들의 완전한 자립을 응원할 예정이다.

두껍베이커리 로고 / 사진=하이트진로
두껍베이커리 로고 / 사진=하이트진로

앞으로 하이트진로는 청년 자립 지원을 위한 ‘두껍베이커리’ 사업을 재구성해 지속적으로 청년들에게 자립 기반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인규 대표는 “두껍베이커리가 청년 자립 지원 사업의 성공 모델로 자리 잡고, 1, 2호점 모두 자활기업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100년 주류 기업으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하이트진로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