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가 장애인 자립생활을 돕고 소득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총 346억 원을 투입해 지난해보다 341개 증가한 3,736개 맞춤형 장애인 공공일자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장애인 공공일자리사업은 취업 취약계층인 중증장애인 특성과 장애 유형에 맞춘 맞춤형 일자리를 통해 사회참여와 자립을 지원하는 공공 중심 일자리 사업이다.
전남도 장애인 공공일자리는 장애인일자리, 중증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 전남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권리중심 맞춤형 일자리는 100% 지방비로 지원되며, 나머지 두 사업은 국비가 함께 투입된다.
장애인일자리는 전일제, 시간제, 복지형,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등 다양한 유형으로 운영되며, 도내 65개 수행기관에서 2,713명이 참여 중이다.
참여자는 행정복지센터 장애인 복지 업무 보조, 복지시설 급식 도우미, 주차구역 계도, 안마 서비스 제공, 요양원 내 이동 지원 등 실질적인 직무에 투입된다.
전남도는 민선 8기 공약으로 지난 2022년 82명 규모로 시작한 ‘권리중심 최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올해 120명까지 확대해 17개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민간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권익옹호 캠페인, 문화예술 체험, 장애 인식개선 활동 등 3개 분야에서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한다.
특히 전남도는 전국 유일하게 참여자 5명당 1명의 전담 인력을 배치해 장애인 근로 지원에 차별화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다른 광역지자체가 10명당 1명을 배치하는 것과 비교해 높은 지원 수준으로, 타 지자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중증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는 동일한 경험을 가진 동료상담가 43명이 상담, 자조모임, 사례관리 등을 통해 860명 장애인 자립을 돕고 있으며, 15개 기관에서 운영 중이다.
장애인일자리 신청 대상은 전남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이며, 신청은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또는 사업 수행기관을 통해 가능하다.
배성진 전라남도 장애인복지과장은 “오는 10월 예정된 ‘제2회 장애인 일자리박람회’도 성공적으로 개최해 민간기업 연계를 통한 일자리 발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