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원 규모 506기 철탑 이전 추진…임시·본 이설 병행해 공급 일정 최대 3년 단축
3D 경관 시뮬레이션 도입해 주민 시야·조망권 고려한 전력 인프라 설계

LH, 전국 42개 공공주택지구 송전철탑 정비…이설·지중화 사업 속도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H 사옥 전경 / 사진=LH
LH 사옥 전경 / 사진=LH

[더페어] 김진우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주택 공급 지연 요인으로 꼽혀온 송전철탑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 규모의 이설·지중화 사업을 본격화한다. LH는 18일 “전국 42개 공공주택지구에서 총 148.2km 구간, 506기의 송전철탑을 이전·지중화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사업비는 약 4조 원 규모”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3기 신도시를 포함한 주요 공공주택지구의 조성 속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 과제로, 기존 절차보다 공기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새로운 이설 방식이 도입된다. LH는 송전선로 이전을 ‘임시이설’과 ‘본이설(지중화)’로 나눠 병행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적용해 평균 8년 이상 소요되던 공기를 2~3년 단축한다는 목표다.

이 전략은 우선 용인반도체 국가산단과 하남교산 지구에서 시범 적용되고 있다. 특히 하남교산 지구는 지중화 완료 전 임시이설을 먼저 진행해 토지사용 시기를 최대 36개월 단축했다. 이 덕분에 약 3,000세대 규모의 주택을 2026년부터 앞당겨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LH는 전망했다.

LH는 기술적 고도화 작업도 병행한다. 2026년부터 도시설계 단계에서부터 전력 인프라의 실제 경관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전력시설 3D 경관시뮬레이션’을 도입한다. 이 기술은 입주자가 실제 창문에서 바라보게 될 전망을 그대로 구현해 송전설비 위치의 적정성, 차폐수목 배치, 조망권 영향 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박동선 LH 국토도시본부장은 “송전철탑 이설은 단순 전력사업을 넘어 국가 주거공급 정책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작업”이라며 “지자체와 한국전력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LH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