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수석동과 하남 미사동을 잇는 1km, 4차선 한강 횡단교량 신설
도로 노선 지정과 동시에 턴키 방식으로 공사 발주해 사업기간 단축
 수석대교 발주로 3기 신도시 광역교통사업 추진에 탄력

LH, 한강교량 ‘수석대교’ 신설 공사발주...지자체 간 갈등 조정·중재한 모범사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석대교 조감도 / 사진=LH
수석대교 조감도 / 사진=LH

[더페어] 임세희 기자=LH는 지난 19일 남양주시와 하남시를 연결하는 3기 신도시 주요 광역교통대책 중의 하나인 ‘(가칭)수석대교(한강교량)’ 신설 공사를 발주했다고 밝혔다.

수석대교는 남양주시 수석동과 하남시 미사동을 잇는 1km 길이의 4차선 한강 횡단 교량이다. 이 교량은 '18년 12월에 3기 신도시 광역교통망으로 발표된 이후, 17차례에 걸친 주민 간담회, 설명회,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20년 12월 남양주왕숙·왕숙2 광역교통 개선대책으로 최종 확정됐다. '22년 6월에는 LH가 경기도에 도로노선 지정을 신청했다.

하남시는 지정 신청 이후 올림픽대로 교통체증이 더 심해지고, 학습과 주거 환경이 악화될 우려가 있어 강동대교 위치 변경이나 판교-퇴계원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를 지하화하는 것을 고려해 전면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남양주시는 수석대교 설치가 늦어지면 6만 8천세대가 거주하는 왕숙·왕숙2 신도시에서 교통난이 예상돼 사업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에 대해 다른 지자체들과 입장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경기도와 함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하남시와의 도로노선 지정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미사강변대로와 직결화, 미사IC 연결로 신설, 강일 우회도로 가래여울교차로 입체화 등이 이뤄지게 됐다.

LH는 수석대교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했고, 이에 따라 도로노선을 정하고 동시에 공사를 발주하여 사업기간을 단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의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결과에 따르면 수석대교는 설계와 시공을 한번에 맡아 처리하는 '일괄 입찰(Turn-key) 방식'으로 발주될 예정이다.

약 3,801억 원으로 추정되는 공사비와 1km의 교량 본선 및 3.3km의 연결로 길이가 예정돼 있다. 교량 형식은 입찰참가자의 제안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또한 4차로로 계획되어 있지만, 미래에는 미사강변대로와 교통수요의 증가를 고려하여 차로 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교량폭이 결정될 예정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수석대교는 대규모 사업으로 인한 지자체 간 갈등을 LH가 적극적으로 조정·중재한 모범사례”라며 “다른 광역교통시설도 ’先교통 後입주‘ 원칙에 따라 주민 입주 시 불편함이 없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수석대교 신설 기본계획 노선도(안) / 사진=LH
수석대교 신설 기본계획 노선도(안) / 사진=LH

한편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한준 LH 사장은 18일 오후 긴급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인천 서구 가정지구 내의 지하차도와 우회도로 현장을 방문한 LH사의 사장은 배수 및 진입 차단 시설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피해 예방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LH #수석대교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