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곤충 배지보다 월등한 함량 확인
전복 고유 성분까지 더해 원료 활용성 크게 확장

완도군, 전복 배양 동충하초서 코디세핀 25배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완도 전복을 배지로 활용해 배양한 동충하초 / 사진 = 완도군
완도 전복을 배지로 활용해 배양한 동충하초 / 사진 = 완도군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완도군이 지역 특산물인 전복을 배지로 활용해 배양한 동충하초에서 기존 현미 배지 대비 약 25배 높은 코디세핀 함량이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완도군이 동충하초의 유용 성분인 코디세핀 함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복 배지를 적용한 새로운 배양기술을 도입하고, 충북대학교 약학과에 성분 분석을 의뢰해 도출된 성과다.

일반적으로 동충하초는 현미를 기반으로 배양되지만 최근에는 귀뚜라미 등 식용곤충을 활용한 배지에서 코디세핀 함량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돼 왔다.

그러나 전복을 활용한 배양 결과는 식용곤충 배지보다도 코디세핀 함량이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동충하초 원료 활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아울러 동충하초 기능성뿐만 아니라 전복이 가진 고유 유효 성분까지 더해짐에 따라 건강 기능성 식품 원료로서 부가가치 또한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코디세핀은 동충하초 대표 생리활성 성분으로, 항암·항염·항균 기능은 물론 면역세포 활성화, 세포 노화 억제 효과로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며,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으로 항암 치료 연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혈당 및 지질 대사 조절 기능도 확인돼 당뇨와 대사증후군 예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완도군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복 배양 동충하초를 활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완도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전복을 활용한 배양기술이 동충하초 산업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완도군농업기술센터는 지난 2023년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과 공동으로 ‘전복을 이용한 동충하초 및 이의 배양 방법’을 개발해 특허를 등록하고, 현재 해외 특허(PCT) 출원 절차를 진행 중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