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전문가 현장 모여 새만금 관광개발 추진방향과 실천전략 집중 논의
스토리텔링, 특화시설 도입, 규제 완화 등 민간 유치 위한 실질 해법 제시

전북도, 새만금 가든형 테마파크 본격화…민관현장회의서 실행전략 논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새만금수목원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국립새만금수목원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27일 국립새만금수목원과 새만금환경생태단지 일원에서 ‘대규모 복합테마파크 유치 민관지원단 현장 회의’를 열고, 새만금 관광개발 방향성과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전북도, 새만금개발청, 새만금개발공사, 학계 및 민간 전문가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새만금의 관광 경쟁력 제고 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했다.

현장을 방문한 위원들은 국립새만금수목원과 새만금환경생태단지를 가든형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핵심 기반으로 평가했다.

국립새만금수목원은 국내 최초 해안형 수목원으로, 맹그로브 생태숲 등 차별화된 콘텐츠와 자연친화적 공간이 공존하는 선도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환경생태단지 1단계 성공 사례를 토대로, 2단계 개발을 보다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특히 2단계 중 2-1단계 사업은 관광레저용지 인근 3.57㎢ 부지에 국비 2,288억 원을 투입해 기후대응숲, 조류서식지, 국제연구·체험공간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추진된다.

새만금 환경생태단지 전경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 환경생태단지 전경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이날 회의에서는 가든형 테마파크를 새만금의 대표 콘텐츠로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K-컬처와 콘텐츠 산업을 연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략거점으로 육성하는 구상이 중점 논의됐다.

참석 위원들은 △지역 스토리텔링과 특화시설 도입 △관광 랜드마크 조성 △저렴한 부지 공급 △민간 유치를 위한 선도 전략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관광개발 핵심 애로사항으로는 △부지공급 유연성 부족 △기반시설 연계 미흡 등이 지적됐으며, 공공 선투자 확대와 규제혁신,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행정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위원들은 “새만금이 세계 관광지로 도약하기 위해선 정책 일관성과 실행력, 그리고 국가 주도의 실질적인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미정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오늘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가든형 테마파크 모델 구체화, 환경생태용지 2단계 조기 개발, 투자여건 개선 등에 집중해 새만금이 글로벌 관광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