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GDC에 적용해 반복 작업 자동화 및 작업 환경 개선
AI 기반 실시간 박스 분류로 최대 4개 파렛트 동시 적재 가능
자체 개발 ‘로터리 자동 버퍼 시스템’으로 공간 효율성과 적재율 극대화

CJ대한통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 도입으로 물류 자동화 혁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 / 사진=CJ대한통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 / 사진=CJ대한통운

[더페어] 임세희 기자 = CJ대한통운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상용화하며 물류센터 자동화 수준을 크게 높였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파렛트 적재 업무를 자동화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물류 전반의 자율 운영 체계 구축에 한걸음 다가섰다.

CJ대한통운은 인천GDC에 박스를 실시간으로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설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장비는 다양한 크기와 도착지를 가진 박스를 AI 비전을 통해 자동 인식하고 분류해, 효율적인 파렛트 적재를 지원한다.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 소비자 주문을 처리하는 핵심 허브 물류센터로, 완성된 상품을 각국 항공편에 적재하기 전 박스 분류와 파렛트 적재 작업이 필수적이다. 기존에는 이 과정이 반복적이고 신체에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번에 도입된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는 고정형과 달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도착지로 가는 물량도 한 번에 처리 가능하며, 인천GDC에서는 현재 한 대의 로봇이 두 도시로 출고되는 물량을 동시에 작업하고 있다.

특히 CJ대한통운이 자체 개발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이 적용돼, 컨베이어에서 들어오는 박스의 크기와 적재 가능 여부를 AI가 판단해 적재 순서를 최적화한다. 이 시스템은 공간 효율을 높이면서 파렛트 적재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동형 설계 덕분에 설비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향후 물류센터 내 다양한 작업 환경 변화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CJ대한통운 자동화개발담당 구성용 팀장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확대에 따라 물류 작업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며 “이번 로봇 팔레타이저 도입을 시작으로 사우디에서 건설 중인 GDC에도 첨단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도 CJ대한통운은 반복적인 물류 업무 자동화를 지속 추진해 작업자의 업무 효율성과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CJ대한통운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