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시와 전남도, 화순군, 담양군은 지난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현장실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실사는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이 2018년 최초 인증, 2023년 첫 재인증을 거친 이후 두 번째 재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로 진행됐다.
실사에서는 무등산 정상부, 운주사, 서유리 공룡화석지 등 핵심 지질명소 해설사 배치, 보존관리 이행 현황, 지난 4월 지오빌리지로 지정된 평촌마을 운영 사례 등을 중심으로 점검이 이뤄졌다.
현장을 방문한 실사위원들은 관련 프로그램과 협력체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번 현장실사에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일본의 니레 카가야, 중국의 타나 위원이 참여했다.
이들은 지난 1월 제출된 재인증 신청서에 포함된 내용 검토와 함께, 각 지질명소 보존 상태, 주민과 협력사업, 권고사항 이행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실사 일정은 28일 광주시청에서 환영 차담회와 실사 브리핑을 시작으로, 29일에는 무등산 장불재와 입석대 주상절리 현장을 둘러봤다.
30일에는 화순군 내 운주사와 서유리 공룡화석지, 협력기관을 점검했고, 마지막 날인 31일에는 담양 죽녹원과 호남기후변화 체험관을 방문한 뒤 광주시청에서 종합회의를 열고 일정을 마무리했다.
재인증 심사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평가지침에 따라 지질공원 교육·관광 프로그램 운영, 주민 참여 협력사업, 지질명소 보존 노력, 관리 체계 등 전반을 평가 기준으로 한다.
최종 결과는 오는 12월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이사회 심의를 거쳐 내년 4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두 번째 재인증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일정 점수 이상 획득과 권고사항 이행을 충족해 ‘그린카드’ 평가를 받아야 한다.
정현윤 광주시 기후환경국장은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이 유네스코 기준에 부합하도록 지속적으로 보완해 지속가능한 개발과 지역경제 성장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