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는 AI 연구혁신, 조선대는 웰에이징 선도 전략으로 미래 비전 제시
광주시는 전담조직 신설과 추진단 운영으로 대학 지원 체계화
교육·연구·창업 연계 투자로 청년 일자리와 지역산업 성장 기반 마련

전남대·조선대-조선간호대, 교육부 ‘글로컬대학 프로젝트’ 최종 선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인재양성전략 보도회 / 사진 = 광주광역시
광주 인재양성전략 보도회 / 사진 = 광주광역시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조선간호대학교(통합)가 교육부 주관 ‘글로컬대학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됐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웰에이징 분야 등을 중심으로 정주형 인재양성을 위해 국비와 시비 총 4700억 원을 투입한다고 28일 밝혔다.

‘글로컬대학 프로젝트’는 세계적 수준의 지방대학(Global+Local, 글로컬)을 육성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견인하는 사업으로, 인재가 지역에 정주하며 지역 산업을 발전시키는 지산학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광주시는 사업기간 동안 전남대에 국비 1000억 원, 시비 1200억 원 등 총 2200억 원을, 조선대-조선간호대에는 국비 1500억 원, 시비 1000억 원 등 총 2500억 원을 지원한다. 

이 재원은 교육과 연구개발(R&D), 청년 취·창업, AI 석·박사 등록금 지원 등으로 활용돼 광주시 9대 전략산업 육성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재정 여건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인재양성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추가 재원을 확보했다. 

전남대에는 약 1200억 원을 투입해 AI 연구혁신 협력모델을 구축하고, 조선대-조선간호대에는 약 1000억 원을 투입해 4대 특구(연구개발, 기회발전, 교육발전, 문화예술) 기반의 웰에이징밸리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선정 과정에는 광주시와 대학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큰 역할을 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7월 교육청년국을 신설해 전담조직 체계를 갖추고, 글로컬대학 준비 세미나 개최를 시작으로 10차례 전문가 컨설팅, 50여 차례 실무회의를 진행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밀착 지원했다.

또한 올해 5월 전남대와 조선대-조선간호대가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된 이후, 문화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한 ‘글로컬대학 본지정 추진단’을 구성해 전남대·조선대 2개 반과 14개 부서, 광주테크노파크, 광주연구원 등과 협력하며 최종 선정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과 대학 강점을 촘촘히 연계해 실행계획서 완성도를 높인 점이 주효했다.

광주시는 앞으로 지·산·학·연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하고 제도·규제 개선 과제를 발굴해 글로컬대학의 안착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도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글로컬대학 선정은 대학의 경사를 넘어 ‘광주 청년’과 ‘광주 산업’이 도약할 기회”라며 “광주시는 5년간 4700억 원을 투자해 정주형 교육과 좋은 일자리, 청년이 머무는 광주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대는 국내 최초 AI 단과대학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인간중심 인공지능 융합 인재양성 교육·연구 혁신대학’을 비전으로 제시해 △AI 융합 인재 양성 △AI 글로벌 탑티어 연구 △AI 창업 선도 △AI 글로벌 허브 구축 전략을 내세웠다.

조선대-조선간호대는 ‘웰에이징 아시아 넘버원 대학’을 비전으로 삼고, 아시아 최대 웰에이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실버 경제를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는 ‘전국 최초 웰에이징 선도대학’을 목표로 3대 전략과 9개 과제를 제시해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