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박희만 기자=하나금융그룹은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 1조340억원을 시현했다고 26일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에 따르면 이번 실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6.2%(682억원) 감소한 규모다. 은행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충당부채 1천799억 원과,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F/X) 환산손실 813억 원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다.
하나금융의 핵심이익은 이자이익(2조2천206억 원)과 수수료이익(5천128억 원)을 합한 2조7천334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4.3%(1천132억 원) 증가했다.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7%다.
수수료 수익은 수익구조와 채널의 다각화로 전년 동기 대비 15.2%(676억 원) 증가한 5천128억 원을 올렸다. ▲인수금융 등 우량 투자은행(IB) 거래 유치에 따른 IB수수료 증가 ▲퇴직연금, 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의 꾸준한 상승 ▲신용카드 수수료 증가 등에 기인한다.
1분기 영업이익경비율(C/I Ratio)은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개선된 37.4%를 나타냈다. 물가 상승, 전산 투자 등 경상비용 인상 요인이 지속되는 환경에서도 전사적인 비용 관리 노력으로 우수한 비용 효율성을 유지했다는 설명이다.
주요 경영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44%, 총자산이익률(ROA)은 0.70%다. 대손비용률(Credit Cost)은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 개선된 0.25%다. 그룹의 경영계획 수준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노출액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자산건전성을 재분류하고 선제적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한 바 있다.
1분기 충당금 등 전입액은 2천723억 원, 고정이하여신(NPL) 커버리지비율은 152.60%,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3%이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가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 추정치는 각각 15.27%, 12.88%다. 수익성 중심의 자산성장 전략과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안정적인 자본적정성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의 1분기 말 기준 총자산은 신탁자산 174조2천 20억 원을 포함한 783조1천 91억 원이다.
하나은행은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 8천432억 원을 시현했다.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한 규모다.
홍콩H지수 ELS 충당부채 1천799억 원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에도 ▲대출자산의 안정적인 성장 ▲수수료 이익 증가 등 견조한 영업력을 유지했다는 설명이다.
이자이익(1조9천688억 원)과 수수료 이익(2천478억 원)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2조2천166억 원이다. 1분기 NIM은 1.55%다.
1분기 말 기준 NPL커버리지비율은 216.44%,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24%, 연체율은 0.29%다. 하나은행의 1분기 말 기준 총자산은 신탁자산 95조235억 원을 포함한 608조6천 143억 원이다.
하나증권은 자산관리(WM) 부문의 고객 수 확대와 세일즈앤트레이딩(S&T) 확장 등 주요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세로 89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하나캐피탈은 602억 원, 하나카드는 535억원, 하나자산신탁은 181억원, 하나생명은 4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각각 시현했다.
하나금융 이사회는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주당 600원의 분기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연초에 발표한 3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의 경우 2분기 내에 매입을 완료할 예정이다. 매입한 자사주는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올해도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주주환원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2일 오후 경상북도 의성군과 함께 지역 내 민관협력으로 건립한 '국공립 금성하나어린이집' 개원식을 진행했다.
경북 의성군에 새로 개원한 '국공립 금성하나어린이집'은 하나금융그룹이 저출산 문제 극복 및 지역사회와의 상생 등 금융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해 추진 중인 '100호 어린이집 건립 프로젝트'의 71번째 완공 어린이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