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대비 리터당 26.9원 상승... 1,682.2원 기록
장기적인 에너지 효율 대책 마련 필요해

주유소 기름값 상승세 이어져... 대응 방안 시급 '목소리 ↑'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페어 정우재 기자]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대책이 시급하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7월 첫째 주(6월 30일∼7월 4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리터당 26.9원 상승한 1,682.2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6월 셋째 주 이후 2주 연속 상승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직전 주보다 29.7원 오른 1,748.2원으로 가장 높았고, 대구는 31.9원 오른 1,656.6원으로 가장 낮았다. 알뜰주유소의 평균가는 리터당 1,656.1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도 6월 셋째 주 이후 2주 연속 상승하여 리터당 28.7원 오른 1,515.0원을 기록했다. 이는 6월 첫째 주 이후 1,500원을 재돌파한 것이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 상승의 원인은 국제유가 상승과 유류세 인하 폭 축소이다.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와 미국 주간 원유 재고의 예상 이상 감소 등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직전 주 대비 배럴당 1.5달러 오른 86.5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3.5달러 올라 94.5달러로 집계됐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를 2개월 더 연장하면서 인하율을 축소했다. 휘발유의 경우 유류세 인하율이 25%에서 20%로 줄어들었다. 이 두 가지 요인이 결합되어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름값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유류세를 일시적으로 인하하여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연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기름값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중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사람들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연료 소비를 줄이고 교통 혼잡을 완화를 돕는다.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확대하여 사람들이 이러한 차량을 더 많이 구매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이는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연료비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 및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이를 상용화함으로써 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태양광, 풍력 등 대체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여 석유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