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원전 및 SMR 건설 해외 시장 진출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원전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글로벌 원전 건설 시장 선도 기업 입지 강화

현대건설, 한국재료연구원과 원전 수출 전방위 기술 협력...안전성·신뢰성 확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3일 경남 창원의 한국재료연구원에서 현대건설 최영 NewEnergy사업부장(오른쪽)과 한국재료연구원 최철진 원장(왼쪽)이 ‘대형원전 및 SMR 건설 해외 진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현대건설
23일 경남 창원의 한국재료연구원에서 현대건설 최영 NewEnergy사업부장(오른쪽)과 한국재료연구원 최철진 원장(왼쪽)이 ‘대형원전 및 SMR 건설 해외 진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현대건설

[더페어] 임세희 기자=현대건설이 원자력 시공 분야 핵심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확립하고 해외 원전을 안정적으로 건설하기 위한 채비에 돌입한다.

이를 위해 한국재료연구원과 '대형원전 및 SMR 건설 해외 진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명식은 경남 창원에 위치한 한국재료연구원에서 열린 가운데 현대건설 최영 NewEnergy사업부장과 한국재료연구원 최철진 원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내 최고의 소재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소재 연구개발과 시험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소재 산업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현재는 SMR용 고강도 스테인리스강(XM-19)과 다층금속소재 등 특수소재, 그리고 SMR 상용화를 위한 3D 프린팅 및 기타 기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1993년 이후 UAE 바라카 원전을 비롯한 국내외 25개 원전의 공인검사를 수행해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건설과 한국재료연구원은 국제적 기준의 원전 시공 기술표준과 품질표준을 정립하고, SMR 건설 소재 및 용접 기술을 개발하며 안정화된 공급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공동연구,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인력지원, 기술 교류 및 교육 등을 적극 추진한다. 특히 유럽 국가에서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기반의 노형을 건설하는 사전 연구를 통해 제작․시공 기준을 구체화하고, 품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해 불가리아 대형원전의 성공적 수주를 위한 기반을 다지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UAE 바라카 원전을 비롯해 총 24기의 대형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대한민국 최다 원전 건설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1982년 ASME 인증서를 최초 취득한 이후 14차례 갱신을 거듭하며 세계적 수준의 원전 시공․관리능력을 입증했다. 

ASME 인증은 해외 원자력 프로젝트를 수주 및 시공하는 데 필수적인 국제 인증이다. 현대건설은 원자력 기기의 현장 설치와 구성품 제작 분야의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수십 년간 원전 공인검사를 통해 경험을 축적한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으로 해외 원전 건설 기준에 부합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한편 임직원과 현장 근로자는 물론 발주처, 협력사, 공급사 관계자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차별화된 역량을 갖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뿐만 아니라 원전 소재 관련 원천기술 개발과 실용화에 힘써 원자력 건설 분야 우위를 선점함으로써 유럽 국가를 포함한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선도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진=현대건설
사진=현대건설

한편 현대건설은 ‘디에이치(THE H)’, ‘힐스테이트(Hillstate)’ 브랜드와 스마트홈 시스템 ‘하이오티(Hi-oT)’가 지난 18일, 한국표준협회 주관 프리미엄브랜드지수(KS-PBI, Korean Standard Premium Brand Index) 평가에서 ‘하이엔드 주거’, ‘공동주택’과 ‘스마트홈 서비스’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